공사립 도서관 시설 도서관 장서 수...

매체명 : 아시아뉴스통신 보도일 : 2013.10.15
링크주소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557614&thread=09r02
15일 국정감사에서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유기홍 의원(민주당, 관악갑)이 230개 시군구별 문화지수 비교 결과를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유 의원실이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으로 부터 제출받은 도서관, 영화관, 작은 도서관 수, 예술단체 수 등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230개 시군구 간 문화 격차를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서울 종로구가 종합지수 48.36으로 1위를 차지해 최하위인 대구 달성군(1.37)과는 무려 33배의 격차를 보였다. 또한 서울 지역에서도 중랑구, 송파구, 강동구는 절대적인 문화시설 규모는 크고 많지만, 높은 인구 수 때문에 하위권에 포함됐다.

유기홍 의원실이 사용한 문화지수 분석 방법은 일반 대중의 문화생활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고, 현재 수준에서 전국단위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것들을 모아 인구수를 반영해 지수를 도출했다.

사용된 지표는 지역 별 총 도서관 면적, 도서관 장서 수, 작은 도서관 수, 지역 축제 수, 영화관 스크린 수, 예술법인 및 단체 수 등 6가지였으며, 각 지표를 인구수로 나누고 그 평균을 1로 만드는 숫자를 곱해 지표별 지수를 산출했다.

지표 수가 적고, 인구 수 대비로 지수를 도출한 것이라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역대 최초로 230개 전 시군구 지역을 대상으로 문화 지수 비교를 시도했다는 의의가 있다.

현재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는 약 54개의 지표를 가지고 같은 취지의 연구를 수행 중에 있는데, 대도시 지역의 문화 지수가 크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기홍 의원은 “지역 간 화합과 통합을 위해서는 경제적 균형 발전뿐만 아니라 지역 간 문화 격차를 해소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유진룡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게 지역별 문화 격차 해소를 위한 전략과 정책 구상을 주문했다.

한편 유기홍 의원은 이전에 ‘전국 영화관 현황’과 ‘전국 도서관 이용 현황’ 을 분석해 보도자료를 배포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아직도 전국 128개 시군구는 영화관이 없고, 1인당 평균 영화 관람 횟수도 서울 4.7, 전남 1.5 등으로 큰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공사립 도서관 시설의 경우, 서초구 도서관 장서 수가 752만권으로 가장 많고 인천시 옹진군이 3만2769권으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인당 장서 수는 경북 경산시가 22.9권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가 0.2권으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댓글 0건
작은도서관 회원 및 SNS계정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0자 / 140자
    작은도서관 뉴스 목록
    번호 제목 매체 보도일
    7176 [경기] 파주시, ‘2023년 작은도서관대회’ 13일 개최 매체 :이뉴스투데이 보도일 :2023.12.12
    7175 [경기] 오봉산마을1단지 행복작은도서관, ‘동네 사랑방’으로 활성화 매체 :아파트관리신문 보도일 :2023.12.12
    7174 [충남] 당진시립도서관, '면천읍성 작은도서관' 개관 매체 :중도일보 보도일 :2023.12.11
    7173 [전북] 작은도서관에서 책 읽고 자연 이야기 찾아 숲 모험에 나선 아이들 매체 :부안독립신문 보도일 :2023.12.08
    7172 [광주] LH 광주전남, 작은도서관 성과나눔 공유 매체 :뉴시스 보도일 :2023.12.07
    7171 [부산] 영도도서관,「작은도서관 순회사서 지원 사업」성료 매체 :위클리오늘 보도일 :2023.12.06
    7170 [대구] “작은도서관이 ‘아파트 사랑방’ 역할 톡톡” 매체 :한국아파트신문 보도일 :2023.12.06
    7169 [경기] ‘지역사회 열린학교’ 작은도서관 설립 세미나 매체 :크리스천투데이 보도일 :2023.12.05
    7168 [경기] 고양삼송휴먼시아3단지, 동네북작은도서관 개관식 개최한다 매체 :아파트관리신문 보도일 :2023.12.05
    7167 [서울] 구립증산정보도서관, 2023년 공공-작은도서관 연계협력사업 성료 매체 :한국강사신문 보도일 :2023.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