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책 읽는 서울’ 만드는 작은도서관의 기적
매체명 : 세계일보
보도일 : 2013.10.18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삼청공원 숲속 도서관’에는 평일인데도 아이들로 북적였다. 자연친화적인 도서관에서 학생들은 놀이하듯 책을 들춰봤다. 산책을 나온 엄마들은 아이에게 책과 자연의 중요성을 동시에 알려주는 일석삼조의 효과에 매료됐다. 생태전문 도서관인 삼청공원 숲속 도서관은 장서 5000여권을 비치하고 있는 인기만점의 도서관이다. 종로구에는 이처럼 2011년 구청 본관 1층에 ‘삼봉서랑’이 개관된 이래 작은도서관 13곳이 최근 2년 동안 들어섰다.
서울 25개 자치구 대부분이 ‘책읽기’와 ‘도서관 확보’를 기치를 내건 경우가 많은 까닭에 서울 전역에 작은도서관과 이색적인 도서관이 늘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도 걸어서 10분 안에 도서관이 있는 수도 창출을 선언한 상태다.
자치구들의 작은도서관은 교육청 산하의 도서관보다는 규모가 작은 생활밀착형 도서관이 대부분이다. 생활 반경에 있어 걸어서 접근이 가능하다. 공원의 낡은 매점을 재활용한 삼청공원 숲속 도서관처럼 작은 공간을 이용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른 구도 마찬가지다. ‘책읽는 송파’를 내건 송파구는 잠실빗물펌프장 공간을 이용한 ‘소나무언덕 잠실본동 작은도서관’을 만들어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버스정류장 두줄책장’, ‘석촌호수 속 공원속 책장’, ‘피서지 문고’, 아파트 놀이터의 공유 도서관을 잇따라 개관했다. 25일엔 장지택지개발지구 장수근린공원에 송파 글마루 도서관이 개관한다.
지난해 도입한 ‘1동 1곳 작은도서관’ 정책을 실현하고 있는 강서구는 7곳의 작은도서관을 개관했다. 하나같이 이름이 아릅답다. 글벗누리, 도란도란, 초록향기, 볏고을, 큰마음, 꿈터 등으로 특성을 반영했다. 가령 방화1동의 글벗누리도서관은 글을 읽으며 서로 벗이 된다는 뜻이다.
관악구는 지난 2월 구청 1층에 ‘용꿈꾸는 작은도서관’을 개관하는 등 3년 동안 작은도서관 24곳을 새로 만들었다. 2011년 5월 관악산 입구에 들어선 관악산 시(詩) 도서관은 이색적인 도서관으로 꼽힌다. 관악산 등산 매표소로 사용됐다가 창고로 방치된 공간이 재활용됐다.
마포구에도 최근 1년에 작은도서관 7곳이 들어섰고, 노원구의 작은도서관은 메아리 작은도서관 등 22곳에 이른다.
이용훈 서울도서관장은 “대형 도서관 위주를 벗어난 작은도서관이나 생활밀착형 도서관의 개관은 도서관의 진화 흐름”이라고 평가했다.
자치구 차원을 넘어선 서울시 방침대로라면 현재 1000곳이 안 되는 도서관은 2030년까지 작은도서관 1100곳, 공공도서관 272곳을 포함해 1372곳까지 늘어나게 된다.
서울 25개 자치구 대부분이 ‘책읽기’와 ‘도서관 확보’를 기치를 내건 경우가 많은 까닭에 서울 전역에 작은도서관과 이색적인 도서관이 늘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도 걸어서 10분 안에 도서관이 있는 수도 창출을 선언한 상태다.
자치구들의 작은도서관은 교육청 산하의 도서관보다는 규모가 작은 생활밀착형 도서관이 대부분이다. 생활 반경에 있어 걸어서 접근이 가능하다. 공원의 낡은 매점을 재활용한 삼청공원 숲속 도서관처럼 작은 공간을 이용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른 구도 마찬가지다. ‘책읽는 송파’를 내건 송파구는 잠실빗물펌프장 공간을 이용한 ‘소나무언덕 잠실본동 작은도서관’을 만들어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버스정류장 두줄책장’, ‘석촌호수 속 공원속 책장’, ‘피서지 문고’, 아파트 놀이터의 공유 도서관을 잇따라 개관했다. 25일엔 장지택지개발지구 장수근린공원에 송파 글마루 도서관이 개관한다.
지난해 도입한 ‘1동 1곳 작은도서관’ 정책을 실현하고 있는 강서구는 7곳의 작은도서관을 개관했다. 하나같이 이름이 아릅답다. 글벗누리, 도란도란, 초록향기, 볏고을, 큰마음, 꿈터 등으로 특성을 반영했다. 가령 방화1동의 글벗누리도서관은 글을 읽으며 서로 벗이 된다는 뜻이다.
관악구는 지난 2월 구청 1층에 ‘용꿈꾸는 작은도서관’을 개관하는 등 3년 동안 작은도서관 24곳을 새로 만들었다. 2011년 5월 관악산 입구에 들어선 관악산 시(詩) 도서관은 이색적인 도서관으로 꼽힌다. 관악산 등산 매표소로 사용됐다가 창고로 방치된 공간이 재활용됐다.
마포구에도 최근 1년에 작은도서관 7곳이 들어섰고, 노원구의 작은도서관은 메아리 작은도서관 등 22곳에 이른다.
이용훈 서울도서관장은 “대형 도서관 위주를 벗어난 작은도서관이나 생활밀착형 도서관의 개관은 도서관의 진화 흐름”이라고 평가했다.
자치구 차원을 넘어선 서울시 방침대로라면 현재 1000곳이 안 되는 도서관은 2030년까지 작은도서관 1100곳, 공공도서관 272곳을 포함해 1372곳까지 늘어나게 된다.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3845 | [서울]서울시민 문화활동에 연 12만원 지출 | 매체 :뉴스핌 | 보도일 :2019.06.23 |
3844 | [대구]대구시 행복북구문화재단, 작은도서관에서 행복한 추억 만드세요 | 매체 :국제뉴스 | 보도일 :2019.06.22 |
3843 | [충북]‘2019년 대한민국 독서대전 시민기획단’ 출범 | 매체 :내외뉴스통신 | 보도일 :2019.06.21 |
3842 | [제주]제주시 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 마중물배움터 확대 | 매체 :헤드라인제주 | 보도일 :2019.06.21 |
3841 | [서울]영등포 출퇴근길, 스마트도서관에서 책 빌려 본다 | 매체 :헤럴드경제 | 보도일 :2019.06.21 |
3840 | [전남]목포시의회 이금이 의원, 작은 도서관 운영 방안 제시 | 매체 :프라임경제 | 보도일 :2019.06.20 |
3839 | [인터뷰]정경미 흥덕마을 작은도서관 연합회 대표 "8년째 이어진 책 잔치… 사람들도 성장했죠" | 매체 :중부일보 | 보도일 :2019.06.19 |
3838 | [전남]순천시, 시민들의 삶속에 문화가 있는 도시로 | 매체 :위키트리 | 보도일 :2019.06.19 |
3837 | [전국]작은 동네 생활 SOC시설 넓어진다…배드민턴장·도서관 등 | 매체 :메디컬월드뉴스 | 보도일 :2019.06.19 |
3836 | [전북]정읍시 “전북 서남권 문화 허브 되겠다” | 매체 :nsp통신 | 보도일 :2019.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