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전국] “도서관은 지역사회 변화와 발전 이끄는 중심” - 도서관정보정책위 대토론회
매체명 : 세계일보
보도일 : 2015.09.03
영국 셰필드시의 한 도서관에서는 일주일에 두 번 작은 행사가 열린다. ‘도서관의 친구’라는 단체의 회원들이 지역 주민들을 초청해 음식을 제공하고, 주민 간 소통의 장을 마련한다. 도서관의 이런 활동은 “각박한 도시에서 이웃들이 서로 만나 대화를 나눔으로써 정을 쌓고, 친구를 만들어 해당 지역의 갈등을 해소하는 데까지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역사회에서 도서관이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한 사례다. 2, 3일 이틀간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주최로 열린 ‘도서관 발전 대토론회-국가발전과 도서관의 역할’에서 논의된 주요한 주제 중 하나였다. 참석자들은 지역사회의 변화와 발전을 이끌 수 있는 도서관의 가능성에 대해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다.
3일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명지대 김영석 교수는 지역의 공공도서관이 ‘도시재생의 거점’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주민들의 도서관 이용과정에서 경제적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며 “도시의 특정 지역이 상대적으로 낙후되는 경우 공공 도서관을 건립하면 사람들이 모여들어 지역이 활성화되고, 도서관을 방문하는 과정에서 주변 소규모 가게들의 매출이 증가하게 된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사례로 1990년대 후반 영국의 토니 블레어 정부가 도서관 건립을 도시재생정책의 중심에 놓고 정책을 추진한 것을 제시했다. 그는 “지역의 주민들이 상시적으로 서로 쉽게 만나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가장 좋은 장소가 도서관이다. 주민 모두에게 무료로 열려 있고, 집에서도 가까운 곳에 위치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 상단의 원문 링크주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3일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명지대 김영석 교수는 지역의 공공도서관이 ‘도시재생의 거점’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주민들의 도서관 이용과정에서 경제적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며 “도시의 특정 지역이 상대적으로 낙후되는 경우 공공 도서관을 건립하면 사람들이 모여들어 지역이 활성화되고, 도서관을 방문하는 과정에서 주변 소규모 가게들의 매출이 증가하게 된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사례로 1990년대 후반 영국의 토니 블레어 정부가 도서관 건립을 도시재생정책의 중심에 놓고 정책을 추진한 것을 제시했다. 그는 “지역의 주민들이 상시적으로 서로 쉽게 만나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가장 좋은 장소가 도서관이다. 주민 모두에게 무료로 열려 있고, 집에서도 가까운 곳에 위치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 상단의 원문 링크주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4370 | [경남]김해시, 동네책방 활성화 다양한 지원 | 매체 :일요신문 | 보도일 :2020.03.30 |
4369 | [경기]성남시 코로나 블루 극복 “응원의 책 추천해 주세요” | 매체 :불교공뉴스 | 보도일 :2020.03.30 |
4368 | [경북]포항 작은도서관 5곳서도 특별예약대출 가능 | 매체 :경상매일신문 | 보도일 :2020.03.29 |
4367 | [부산]사하구 작은도서관, 단계별 '도서대출서비스' 시행 | 매체 :국제뉴스 | 보도일 :2020.03.29 |
4366 | [광주]광주 북구, 작은도서관 활성화…전문성 확보에 나선다. | 매체 :뉴스웨이 | 보도일 :2020.03.27 |
4365 | [전남]순천시 덕월우성아파트 바느질 동아리, 면 마스크 만들어 주민들과 나눠 | 매체 :위키트리 | 보도일 :2020.03.25 |
4364 | [경기]경기도의회 최경자 의원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관심가질 것” | 매체 :뉴스피크 | 보도일 :2020.03.25 |
4363 | [경남]창원시 작은도서관 및 평생학습센터에 안심벨 설치 | 매체 :경남도민신문 | 보도일 :2020.03.25 |
4362 | [경기]의정부시 작은도서관, 소통·쉼터 공간으로 변신 | 매체 :머니S | 보도일 :2020.03.24 |
4361 | [충남]주민참여 열정이 샘솟는 작은도서관 | 매체 :중도일보 | 보도일 :2020.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