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도서관은 지역사회 변화와 발전 이끄는 중심” - 도서관정보정책위 대토론회

매체명 : 세계일보 보도일 : 2015.09.03
링크주소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5/09/03/20150903003764.html?OutUrl=naver
영국 셰필드시의 한 도서관에서는 일주일에 두 번 작은 행사가 열린다. ‘도서관의 친구’라는 단체의 회원들이 지역 주민들을 초청해 음식을 제공하고, 주민 간 소통의 장을 마련한다. 도서관의 이런 활동은 “각박한 도시에서 이웃들이 서로 만나 대화를 나눔으로써 정을 쌓고, 친구를 만들어 해당 지역의 갈등을 해소하는 데까지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역사회에서 도서관이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한 사례다. 2, 3일 이틀간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주최로 열린 ‘도서관 발전 대토론회-국가발전과 도서관의 역할’에서 논의된 주요한 주제 중 하나였다. 참석자들은 지역사회의 변화와 발전을 이끌 수 있는 도서관의 가능성에 대해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다.

3일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명지대 김영석 교수는 지역의 공공도서관이 ‘도시재생의 거점’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주민들의 도서관 이용과정에서 경제적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며 “도시의 특정 지역이 상대적으로 낙후되는 경우 공공 도서관을 건립하면 사람들이 모여들어 지역이 활성화되고, 도서관을 방문하는 과정에서 주변 소규모 가게들의 매출이 증가하게 된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사례로 1990년대 후반 영국의 토니 블레어 정부가 도서관 건립을 도시재생정책의 중심에 놓고 정책을 추진한 것을 제시했다. 그는 “지역의 주민들이 상시적으로 서로 쉽게 만나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가장 좋은 장소가 도서관이다. 주민 모두에게 무료로 열려 있고, 집에서도 가까운 곳에 위치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 상단의 원문 링크주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0건
작은도서관 회원 및 SNS계정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0자 / 140자
    작은도서관 뉴스 목록
    번호 제목 매체 보도일
    2550 [경기]나눔의 실천, 강상작은도서관 사랑의 도서기증 매체 :피디언 보도일 :2017.09.04
    2549 [전북][작은도서관에날개를]why 작가책을 만난 아이들 매체 :동아일보 보도일 :2017.09.04
    2548 [충청]책이랑 더 친해지는 9월 대전충청 책축제 매체 :저널디 보도일 :2017.09.04
    2547 [전북]정읍시립도서관 운영위원, 작은도서관 어린이 재능기부 매체 :전민일보 보도일 :2017.09.04
    2546 [전남]나주시, 노안면 '신숙주 작은도서관' 개관 매체 :뉴스일 보도일 :2017.09.04
    2545 [충북]한권의 책으로 전해진 따뜻한 위로와 격려 매체 :청주일보 보도일 :2017.09.02
    2544 [전주]한옥마을에서 만나는 '책 읽는 버스' 매체 :뉴스페이퍼 보도일 :2017.09.02
    2543 [전북]전북도, 책으로 소통하는 “2017 Book소리 한마당” 열어 매체 :피디언 보도일 :2017.09.01
    2542 [경남]김해 팔판작은도서관 ‘미술특화도서관’으로 재탄생 매체 :케이랜 보도일 :2017.09.01
    2541 [제주]탐라도서관, 북버스(BOOK BUS) 개관 1주년 매체 :제주광장 보도일 :201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