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전북] ‘작은도서관’ 장애인은 ‘이용하지말라?’
매체명 : 전민일보
보도일 : 2014.04.21
전북도가 도민의 삶의질 향상과 문화 소외계층을 위해 작은도서관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대표적인 소외계층인 장애인들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없어 역차별 논란이 일고 있다.
작은도서관 조성사업은 지역민들에게 책과 가까워질 수 있는 기회 제공확대의 취지와 함께 상대적으로 문화 소외계층을 배려한 일종의 복지 정책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 지역민들만을 주 대상으로 할 뿐, 장애인과 노인 등 소외계층은 사실상 정책제공 대상에서 제외된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20일 전북도에 따르면 전북은 작은도서관 수가 119개로 경기도(143개)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활성화된 지역이며, 인구수당 비교할 때 가장 많은 작은도서관이 운영 중이다.
도는 올해부터는 단순하게 책만 읽는 공간에서 탈피해 작은도서관이 지역민들의 대표적인 문화예술·교육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겠다며 다양한 프로그램 지원사업을 펼칠 계획이다.
그러나 장애인과 노인 등은 실질적으로 배제된 채 일반인 등만을 주 대상으로 정책이 추진되면서 문화·복지 소외계층 해소를 위한 정책의 취지에 어긋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하 세부내용 원문 URL 참조
작은도서관 조성사업은 지역민들에게 책과 가까워질 수 있는 기회 제공확대의 취지와 함께 상대적으로 문화 소외계층을 배려한 일종의 복지 정책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 지역민들만을 주 대상으로 할 뿐, 장애인과 노인 등 소외계층은 사실상 정책제공 대상에서 제외된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20일 전북도에 따르면 전북은 작은도서관 수가 119개로 경기도(143개)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활성화된 지역이며, 인구수당 비교할 때 가장 많은 작은도서관이 운영 중이다.
도는 올해부터는 단순하게 책만 읽는 공간에서 탈피해 작은도서관이 지역민들의 대표적인 문화예술·교육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겠다며 다양한 프로그램 지원사업을 펼칠 계획이다.
그러나 장애인과 노인 등은 실질적으로 배제된 채 일반인 등만을 주 대상으로 정책이 추진되면서 문화·복지 소외계층 해소를 위한 정책의 취지에 어긋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하 세부내용 원문 URL 참조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3895 | [경기]파주중앙도서관, 작은도서관 협력활동 시작 | 매체 :업코리아 | 보도일 :2019.07.18 |
3894 | [화성]'화성시 시립도서관 직원 역량강화 교육' 실시 | 매체 :환경일보 | 보도일 :2019.07.18 |
3893 | [인천]달천 아이파크 1차 작은도서관 - 아이돌봄 대안으로 작은 도서관 주목! | 매체 :금요저널 | 보도일 :2019.07.17 |
3892 | [전남]전남도, 작은도서관 11개소 추가 조성 | 매체 :신아일보 | 보도일 :2019.07.17 |
3891 | [울산]울산강북교육지원청, 작은 도서관 지원 협력 체계 구축 | 매체 :쿠키뉴스 | 보도일 :2019.07.17 |
3890 | [전국]단순 주거공간이었던 공공주택, 주거 플랫폼으로 전환" | 매체 :매일경제 | 보도일 :2019.07.16 |
3889 | [서울]서울, 영유아-양육자 대상 시범사업 추진 | 매체 :환경일보 | 보도일 :2019.07.16 |
3888 | [울산]울산 중구지역 내 공립작은도서관서 ‘북큐레이션’ 전시 | 매체 :울산매일 | 보도일 :2019.07.15 |
3887 | [전북]익산시, 작은도서관 도서구입 지원 | 매체 :전북일보 | 보도일 :2019.07.15 |
3886 | [서울] 동작구, 지식정보취약계층 지원센터 공모 선정 | 매체 :메디컬투데이 | 보도일 :2019.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