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작은도서관’ 장애인은 ‘이용하지말라?’

매체명 : 전민일보 보도일 : 2014.04.21
링크주소
http://www.jeon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1904
전북도가 도민의 삶의질 향상과 문화 소외계층을 위해 작은도서관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대표적인 소외계층인 장애인들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없어 역차별 논란이 일고 있다.

작은도서관 조성사업은 지역민들에게 책과 가까워질 수 있는 기회 제공확대의 취지와 함께 상대적으로 문화 소외계층을 배려한 일종의 복지 정책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 지역민들만을 주 대상으로 할 뿐, 장애인과 노인 등 소외계층은 사실상 정책제공 대상에서 제외된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20일 전북도에 따르면 전북은 작은도서관 수가 119개로 경기도(143개)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활성화된 지역이며, 인구수당 비교할 때 가장 많은 작은도서관이 운영 중이다.

도는 올해부터는 단순하게 책만 읽는 공간에서 탈피해 작은도서관이 지역민들의 대표적인 문화예술·교육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겠다며 다양한 프로그램 지원사업을 펼칠 계획이다.

그러나 장애인과 노인 등은 실질적으로 배제된 채 일반인 등만을 주 대상으로 정책이 추진되면서 문화·복지 소외계층 해소를 위한 정책의 취지에 어긋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하 세부내용 원문 URL 참조
댓글 0건
작은도서관 회원 및 SNS계정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0자 / 140자
    작은도서관 뉴스 목록
    번호 제목 매체 보도일
    1330 [경기] 경기도 작은도서관 강사 인력풀 구축 매체 :이뉴스투데이 보도일 :2015.10.07
    1329 [경기] 제4회 양주 북페스티벌 개최 매체 :신아일보 보도일 :2015.10.06
    1328 [서울] 서울시 성북구 ‘도서관 아띠들 교육’ 실시 매체 :아시아투데이 보도일 :2015.10.05
    1327 [전국] 동네 주민·소외계층이 찾던 '작은 도서관' 존폐 위기 매체 :JTBC 보도일 :2015.10.05
    1326 [경기] ‘책이음’ 하나로 전국도서관에서 도서 대출을 매체 :독서신문 보도일 :2015.10.05
    1325 [전북] 완산도서관, 30개 작은도서관에 도서 기증 매체 :전북도민일보 보도일 :2015.10.02
    1324 [광주] 다양한 문화체험 프로그램 운영 눈길 - 우산동 작은도서관 매체 :무등일보 보도일 :2015.09.30
    1323 [울산] 작은도서관, 학생·직장인에겐 그림의 떡 - 이용자 고려한 운영시간 조정 제안 매체 :경상일보 보도일 :2015.09.29
    1322 [서울] 새달 5일 ‘관악주민이 만든 책잔치’ - 책이랑놀이랑도서관, 용꿈꾸는 작은도서관 매체 :서울신문 보도일 :2015.09.25
    1321 [서울] 양천구 고운달 작은도서관 개관식 매체 :시민일보 보도일 :2015.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