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눈높이 사설] 지역 문화거점 공공도서관 확충 시급

매체명 : 국제뉴스 보도일 : 2016.03.14
링크주소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60315.22021185245
인간의 사상과 활동의 기록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가장 과학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에 따라 기록을 보존하고 정리한 곳. 모든 사람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회적인 장치이며, 문화적인 기관이 바로 도서관이다. 특히 지식사회에서의 도서관은 인류가 쌓아 온 보물창고이고, 다음 세대로 이어지는 지식의 정거장이자 전달자가 되고 있다. 그래서 많은 지방자치단체가 경쟁적으로 크고 작은 도서관을 지어 주민 지식 함양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공공도서관은 국민의 교양과 조사 연구 및 오락 등 그 이용에 봉사를 목적으로 하는 시설이다. 지역사회의 사회교육기관 또는 평생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그러나 부산의 도서관 실상을 보면 안타깝다. 현재 지역 공공도서관은 35개에 불과하다. 도서관 개당 인구로 따지면 10만1708명이나 된다. 전국 평균은 5만5191명이다. 결국 부산은 타 지역민들보다 배나 많은 시민이 도서관 1개를 이용하고 있다는 말이 된다. 그렇다고 도서관이 집 근처 가까운 곳에 있는 것도 아니다. 부산시민 47%만이 걸어서 15분 이내 있는 도서관을 이용할 만큼 교통이 불편한 외진 곳에 있고 사서도 부족해 도서관에 가더라도 노인이나 어린이는 충분한 혜택을 기대할 수도 없는 실정이다.

도서관이 바뀌어야 한다. 학생이나 취업 준비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는 공부방 역할에서 주민 친화공간이 돼야 한다. 특히 지역 공공도서관은 지역 주민이 주인공이다. 지식과 문화, 생활과 정보가 공유되고 소통하는 지역사회의 중심으로 탈바꿈해야 한다. 서병수 부산시장의 '10분 이내 도서관 이용 시스템 구축' 공약을 현실화하려면 현재 35개에 불과한 지역 공공도서관을 70개로 늘리는 과감한 정책 추진이 시급하다. 이와 함께 도서관이 '창의성과 상상력의 원천' '지역공동체 거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시설에서부터 콘텐츠, 운영에 이르기까지 변화가 절실하다. 도서관이 지식놀이터가 돼야 한다. 신동현·신금초 교사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 상단의 원문 링크주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0건
작은도서관 회원 및 SNS계정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0자 / 140자
    작은도서관 뉴스 목록
    번호 제목 매체 보도일
    4925 [경기]광명시, 경기도 작은도서관 평가 ‘최우수’ 지자체 선정 매체 :머니s 보도일 :2020.12.27
    4924 [경기]의정부시, 작은도서관 정책평가 3년 연속 최우수 매체 :브레이크뉴스 보도일 :2020.12.26
    4923 [전북]전주시, "국토부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에 선정돼 국비 190억 확보 매체 :내외뉴스통신 보도일 :2020.12.24
    4922 [강원]영월 별마로 작은도서관 마을공동체사업 `최우수' 매체 :강원일보 보도일 :2020.12.24
    4921 [경기]파주시, 작은도서관 온라인 워크숍 성료 매체 :위클리오늘 보도일 :2020.12.24
    4920 [전남]광양시, ‘작은도서관 육성 시범지구 조성 기관’ 선정 매체 :빅데이터뉴스 보도일 :2020.12.24
    4919 [경남]양산작은도서관협, 항일운동기념관 건립 후원 매체 :경남도민일보 보도일 :2020.12.24
    4918 [전북]초록우산작은도서관, 道 운영평가 ‘최우수’ 매체 :투데이안 보도일 :2020.12.23
    4917 [경북]상주시 공검면 공갈못작은도서관, 이웃에 동지팥죽 2천400그릇 전달 매체 :영남일보 보도일 :2020.12.23
    4916 [인천]인천시 동구, 작은 도서관 운영 활성화 참여자 모집 매체 :기호일보 보도일 :2020.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