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눈높이 사설] 지역 문화거점 공공도서관 확충 시급

매체명 : 국제뉴스 보도일 : 2016.03.14
링크주소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60315.22021185245
인간의 사상과 활동의 기록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가장 과학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에 따라 기록을 보존하고 정리한 곳. 모든 사람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회적인 장치이며, 문화적인 기관이 바로 도서관이다. 특히 지식사회에서의 도서관은 인류가 쌓아 온 보물창고이고, 다음 세대로 이어지는 지식의 정거장이자 전달자가 되고 있다. 그래서 많은 지방자치단체가 경쟁적으로 크고 작은 도서관을 지어 주민 지식 함양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공공도서관은 국민의 교양과 조사 연구 및 오락 등 그 이용에 봉사를 목적으로 하는 시설이다. 지역사회의 사회교육기관 또는 평생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그러나 부산의 도서관 실상을 보면 안타깝다. 현재 지역 공공도서관은 35개에 불과하다. 도서관 개당 인구로 따지면 10만1708명이나 된다. 전국 평균은 5만5191명이다. 결국 부산은 타 지역민들보다 배나 많은 시민이 도서관 1개를 이용하고 있다는 말이 된다. 그렇다고 도서관이 집 근처 가까운 곳에 있는 것도 아니다. 부산시민 47%만이 걸어서 15분 이내 있는 도서관을 이용할 만큼 교통이 불편한 외진 곳에 있고 사서도 부족해 도서관에 가더라도 노인이나 어린이는 충분한 혜택을 기대할 수도 없는 실정이다.

도서관이 바뀌어야 한다. 학생이나 취업 준비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는 공부방 역할에서 주민 친화공간이 돼야 한다. 특히 지역 공공도서관은 지역 주민이 주인공이다. 지식과 문화, 생활과 정보가 공유되고 소통하는 지역사회의 중심으로 탈바꿈해야 한다. 서병수 부산시장의 '10분 이내 도서관 이용 시스템 구축' 공약을 현실화하려면 현재 35개에 불과한 지역 공공도서관을 70개로 늘리는 과감한 정책 추진이 시급하다. 이와 함께 도서관이 '창의성과 상상력의 원천' '지역공동체 거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시설에서부터 콘텐츠, 운영에 이르기까지 변화가 절실하다. 도서관이 지식놀이터가 돼야 한다. 신동현·신금초 교사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 상단의 원문 링크주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0건
작은도서관 회원 및 SNS계정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0자 / 140자
    작은도서관 뉴스 목록
    번호 제목 매체 보도일
    4223 [강원]정선군, 행복을 더하는 가족친화 환경조성 ‘앞장’ 매체 :뉴스메이커 보도일 :2020.01.09
    4222 [강원]강원 마을교육공동체…횡성 공근면에서 첫걸음 매체 :한국경제 보도일 :2020.01.08
    4221 [경북]포항시 작은도서관 3개소 리모델링 재개관 매체 :환경일보 보도일 :2020.01.08
    4220 [경기]‘경기도 아동돌봄지원조례’ 13일 시행 매체 :머니S 보도일 :2020.01.08
    4219 [울산]'2020 울산작은도서관협회(회장 하현숙) 정기총회', 울산도서관에서 열려 매체 :경상일보 보도일 :2020.01.07
    4218 [서울]금천구, 주민참여예산 41개 사업 8억4000만원 확정 매체 :아시아투데이 보도일 :2020.01.07
    4217 [강원]원주, 문화로 가득한 희망마을 만든다 매체 :원주투데이 보도일 :2020.01.06
    4216 [전북]사회적기업 둘레, 정읍지역 12개 단체와 문화특화지역 조성 추진 매체 :전북일보 보도일 :2020.01.06
    4215 [충북]청주 구도심 유흥가, 작은 도서관 등으로 변신 매체 :세계일보 보도일 :2020.01.03
    4214 [경기]군포시 작은도서관 12곳 겨울방학 독서문화강좌 운영 매체 :업코리아 보도일 :2020.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