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동네 구석구석 집집마다 책 나눔 꼬마도서관
매체명 : 한겨레
보도일 : 2014.06.17
미국 한 주민이 집 마당 앞 우편함 크기 설치가 불씨
4년 새 들불처럼 번저 60여개 국 1만5000여 곳으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도서관에서 종이책을 몰아내고 있다. 아예 종이책이 전혀 없는 디지털 도서관도 등장했다. 기술은 이렇게 지식의 터전을 바꿔가고 있다. 하지만 미래가 한 방향으로만 오는 것은 아니다. 전자도서관의 다른 쪽에선 아날로그 냄새 물씬한 색다른 도서관이 또 다른 미래 비전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름하여 Little Free Library(글자 그대로 번역하면 ‘작은 무료 도서관’이지만, 여기서는 다른 작은 도서관들과 구분하기 위해 꼬마도서관으로 번역한다)이다. 꼬마도서관은 큰 새집이나 우편함 크기의 책 대여소를 가리킨다. 꼬마도서관의 특징은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도서관 주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자신의 집 앞이나 사람들이 잘 다니는 곳에 꼬마도서관을 세워 놓고, 다른 사람들에게 읽히고 싶은 책을 이곳에 비치해두면 된다. 요즘 지구촌에 이 꼬마도서관 바람이 불고 있다. 하루에 10~20개의 새 꼬마도서관이 지구촌 마을들에 속속 들어서고 있다.
책 좋아한 돌아가신 어머니 기려 설치한 게 발단
“네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네 나중은 심히 창대하리라.” 미 북동부 위스콘신주 허드슨시의 토드 볼(Todd Bol)은 자신이 처음 만든 꼬마도서관이 불과 몇년 사이에 이 성경 구절처럼 이렇게까지 ‘창대’해지리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다. 발단은 작고한 어머니를 기리기 위한 아이디어에서 시작됐다. 2009년 초 그는 우편함 크기의 학교 건물 나무모형을 만들었다. 볼은 그 작은 교실 안에 책을 넣어 집 마당 앞에 세워놓고는 이웃들이 무료로 빌려갈 수 있도록 했다.
교사 출신인 그의 어머니는 생전에 책 읽기를 무척이나 즐겼다. 볼은 어머니의 마음을 담아 이웃들에게 무료로 책을 빌려주고 싶었던 것이다. 그런데 작고 예쁜 모양의 이 책 상자에 이웃들이 예상밖으로 큰 관심을 표시했다. 마을 사람들이 구경을 오기 시작했다. 몇몇 사람들은 자신들도 이런 책 대여소를 갖고 싶어했다. 볼은 내친 김에 몇개를 더 만들어 그들에게 선물했다. 꼬마도서관 운동은 이렇게 시작됐다.
※기사 전문은 원문 링크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4년 새 들불처럼 번저 60여개 국 1만5000여 곳으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도서관에서 종이책을 몰아내고 있다. 아예 종이책이 전혀 없는 디지털 도서관도 등장했다. 기술은 이렇게 지식의 터전을 바꿔가고 있다. 하지만 미래가 한 방향으로만 오는 것은 아니다. 전자도서관의 다른 쪽에선 아날로그 냄새 물씬한 색다른 도서관이 또 다른 미래 비전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름하여 Little Free Library(글자 그대로 번역하면 ‘작은 무료 도서관’이지만, 여기서는 다른 작은 도서관들과 구분하기 위해 꼬마도서관으로 번역한다)이다. 꼬마도서관은 큰 새집이나 우편함 크기의 책 대여소를 가리킨다. 꼬마도서관의 특징은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도서관 주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자신의 집 앞이나 사람들이 잘 다니는 곳에 꼬마도서관을 세워 놓고, 다른 사람들에게 읽히고 싶은 책을 이곳에 비치해두면 된다. 요즘 지구촌에 이 꼬마도서관 바람이 불고 있다. 하루에 10~20개의 새 꼬마도서관이 지구촌 마을들에 속속 들어서고 있다.
책 좋아한 돌아가신 어머니 기려 설치한 게 발단
“네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네 나중은 심히 창대하리라.” 미 북동부 위스콘신주 허드슨시의 토드 볼(Todd Bol)은 자신이 처음 만든 꼬마도서관이 불과 몇년 사이에 이 성경 구절처럼 이렇게까지 ‘창대’해지리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다. 발단은 작고한 어머니를 기리기 위한 아이디어에서 시작됐다. 2009년 초 그는 우편함 크기의 학교 건물 나무모형을 만들었다. 볼은 그 작은 교실 안에 책을 넣어 집 마당 앞에 세워놓고는 이웃들이 무료로 빌려갈 수 있도록 했다.
교사 출신인 그의 어머니는 생전에 책 읽기를 무척이나 즐겼다. 볼은 어머니의 마음을 담아 이웃들에게 무료로 책을 빌려주고 싶었던 것이다. 그런데 작고 예쁜 모양의 이 책 상자에 이웃들이 예상밖으로 큰 관심을 표시했다. 마을 사람들이 구경을 오기 시작했다. 몇몇 사람들은 자신들도 이런 책 대여소를 갖고 싶어했다. 볼은 내친 김에 몇개를 더 만들어 그들에게 선물했다. 꼬마도서관 운동은 이렇게 시작됐다.
※기사 전문은 원문 링크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5753 | [부산] 부산 금정구, 부산대와 ‘제6기 금정 시민 인문 아카데미’ 운영 | 매체 :글로벌경제신문 | 보도일 :2022.01.26 |
5752 | [충남] 팔봉면에는 마을교육공동체가 있습니다 | 매체 :코리아인경제신문 | 보도일 :2022.01.26 |
5751 | [전북] 김제 시립도서관 독서·문화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 매체 :새전북신문 | 보도일 :2022.01.25 |
5750 | [충북] 옥천지역서점 책값반환제 2월 3일부터 시행 | 매체 :대전일보 | 보도일 :2022.01.25 |
5749 | [충북] 증평 창의파크 오는 4월 '첫 삽' | 매체 :중부매일 | 보도일 :2022.01.25 |
5748 | [인천] '여성전용'이 아니라 여성을 배려한 도서관이예요~ | 매체 :인천in | 보도일 :2022.01.25 |
5747 | [부산] 부산시교육청, 부산형 돌봄 모델 ‘우리동네 자람터’ 21곳 운영 | 매체 :한국강사신문 | 보도일 :2022.01.24 |
5746 | [대전] 대전 서구 도마2동 ‘도솔마을 꿈 잇는 청춘학교’ 운영 | 매체 :디트NEWS24 | 보도일 :2022.01.24 |
5745 | [강원] 정선군, 올해 35개 노인 일자리 사업 추진…2천884명 참여 | 매체 :연합뉴스 | 보도일 :2022.01.24 |
5744 | [경기] 의왕시 '문체부 지원 작은도서관 육성 시범지구' 선정 | 매체 :뉴스핌 | 보도일 :2022.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