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공공기관 도서기증사업, 구매해서 하라

매체명 : 한계레신문 보도일 : 2017.02.05
링크주소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781128.html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이하 예술위)는 ‘책을 통해 꿈과 희망을’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한국구세군 및 나주시와 ‘사랑의 도서기증사업’ 행사를 1월 중순에 두 차례 열었다. 송인서적 부도 사태 직후의 일이다. 이 사업은 예술위가 2011년부터 한국구세군과 협력하여 국내 출판사에 쌓여 있는 재고 도서를 활용해 출판사에는 세제 혜택을 부여하고 문화 소외계층(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시설 등)에게는 기증된 도서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시행되어 왔다.
예술위는 2016년의 경우 약 70개 출판사가 참여하여 31만여권의 도서를 기증받아 전국의 사회복지기관, 작은도서관 등에 배포했다. 총 26억원(정가의 70% 추산)에 상당하는 도서 물량이다. 2016년에는 예술위가 위치한 나주시와 협력해 5만6천권 정도의 책을 나주시 지역아동센터 등 사회복지기관에 우선 지원했고, 대기업 후원으로 병영도서관 설립도 지원했다고 밝혔다. 2015년에 48개 출판사가 참여해 18만여권(약 14억원 상당)을 기증한 것에 비해서도 상당한 증가세다.
소외계층에게 책을 전한다는 것은 너무나 소중한 일이다. 그러나 문제는 수요자들이 원하는 책이 아닌 불특정하게 기부된 책이라는 점이다. 당사자들이 읽고 싶은 책이 아니라 출판사에서 안 팔려 기증받은 책이 소외계층에게 얼마나 큰 만족을 줄 수 있을까. 수요자 맞춤형이 아닌 시행기관 맞춤형 사업이다.
예술위는 문화예술 발전과 진흥을 위해 운영하는 공공기관이다. 지난해 예산이 447억원이었다. 문화예술 발전의 바탕이자 그 결과물이기도 한 출판물의 사회적 확산과 출판산업 진흥에 도움이 되도록 문화 소외계층이 필요로 하는 책을 많이 구입해서 널리 보급해도 부족할 판국에, 어려운 출판사들에게 세제 혜택을 빌미로 기증을 요청하는 일은 멈춰야 한다. 취지와 명분이 좋아도 돈 안 들이고 생색만 내려는 방식은 당장 그만두길 바란다.
예술위뿐만이 아니다. 상당수 공공도서관에서는 시민들에게 여전히 도서 기증을 요청하고 있다. 전국의 작은도서관, 군대 병영도서관의 대부분도 기증 도서 의존도가 매우 높다. 가계의 도서 구입비가 어김없이 매년 줄면서 저자와 출판·서점계가 모두 울상인 마당에, 공공기관들까지 나서서 기왕에 안 팔린 책이니 기증이나 하란다. 잔인한 공공 코미디다.
책 생태계는 저자, 출판사, 출판유통사, 서점, 도서관, 독자 등이 서로 긴밀하게 연계된 유기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책은 생산-유통-소비를 통해 건전한 재생산 구조를 이어갈 수 있다. 그렇지만 우리 실상은 그렇지 않다. 책 생태계 전체가 일그러져 개선해야 할 것투성이다. 공공기관들이 민간에 책 기증을 요청하는 정신 나간 짓부터 고쳐야 한다. 책으로 좋은 일을 하려거든 제발 구입해서 하기 바란다. 공공기관들이 앞장서 책 생태계를 고사시키는 나라에서는 출판은 물론이고 나라의 비전을 생각하기 어렵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781128.html#csidx7f6f0883e35ef959aa9205d61ce122e
댓글 0건
작은도서관 회원 및 SNS계정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0자 / 140자
    작은도서관 뉴스 목록
    번호 제목 매체 보도일
    7255 [인천] 인천 연수도서관 '숲, 천천히 걷고 읽기'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매체 :신아일보 보도일 :2024.03.17
    7254 [경기] 안양산진원-어린이 작은도서관, 지역 청소년 교육 지원 업무협약 맺어 매체 :기호일보 보도일 :2024.03.17
    7253 [전남] 광양시, 2024년 사립작은도서관 도서구입비 지원 매체 :NSP통신 보도일 :2024.03.14
    7252 [부산] 사하구 수풀 작은도서관, 어린이 복합문화공간 '재단장' 매체 :글로벌경제신문 보도일 :2024.03.14
    7251 [경기] 의왕시, 작은도서관에서 '부모교육' 프로그램 매체 :OBS 뉴스 보도일 :2024.03.13
    7250 [경기] 용인특례시, 작은도서관 '아이돌봄 사업' 등 지원 매체 :뉴시스 보도일 :2024.03.12
    7249 [경남] 진주시립도서관 "상호대차 서비스" 이용자 크게 늘어 매체 :시민일보 보도일 :2024.03.11
    7248 [충남] 천안시, 보조금 신청한 사립작은도서관 실태조사 실시 매체 :충남일보 보도일 :2024.03.11
    7247 [경남] 창원 반림마을작은도서관, ‘독서문화행사 도전 100권 읽기’ 시상 매체 :뉴스프리존 보도일 :2024.03.05
    7246 [부산] 영도구 아랫서발 작은도서관 어르신 독서모임, 내 인생의 화양연화 운영 호응 매체 :위클리오늘 보도일 :2024.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