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경기]'책 읽는 파주’ 작은 도서관 활성화 설명회
매체명 : 대한일보
보도일 : 2017.03.19
책 읽는 파주’ 실현을 골자로 관내 '작은 도서관' 운영자를 대상으로 지속가능의 활성화를 위한 첫 사업 설명회가 열렸다.
최근 파주시 중앙도서관 4층 강연실에서 열린 작은 도서관 사업설명회는 △작은 도서관 활성화 사업소개 △작은 도서관 활성화 세부사업 안내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파주시 임봉성 교육지원과 도서관 정책팀장은 이번 설명회에서 △도서관 현황 및 성과 △독서진흥정책 방향 및 목표를 제시 △책 있는 파주 신규사업 △작은 도서관 활성화 지원에 대한 작은 도서관 활성화 사업을 소개했다.
임 팀장은 시에서 추진할 공단 중심 독서동아리와 실무에 필요한 독서/지식경영을 위한 ‘책 읽는 일터 도서관’과 연말에 독서관련 기관 및 시민들이 한 해의 독서활동을 총정리 하는 ‘책 읽는 파주 대회’를 신규사업으로 발표했다.
이어 신주호 교육지원과 담당자는 작은도서관 활성화 세부사업으로 △협력사서 배치 및 역할 △작은도서관 지원사업 안내를 한 후 마지막으로 작은도서관의 담당 실무자들과 운영자들과의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클릭하면 큰 이미지로 볼수 있습니다.큰 이미지 보기
‘책 읽는 파주’ 실현을 골자로 관내 '작은 도서관' 운영자를 대상으로 지속가능의 활성화를 위한 첫 사업 설명회가 열렸다.
최근 파주시 중앙도서관 4층 강연실에서 열린 작은 도서관 사업설명회는 △작은 도서관 활성화 사업소개 △작은 도서관 활성화 세부사업 안내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파주시 임봉성 교육지원과 도서관 정책팀장은 이번 설명회에서 △도서관 현황 및 성과 △독서진흥정책 방향 및 목표를 제시 △책 있는 파주 신규사업 △작은 도서관 활성화 지원에 대한 작은 도서관 활성화 사업을 소개했다.
클릭하면 큰 이미지로 볼수 있습니다.큰 이미지 보기
<파주시 교육지원과의 임봉성도서관 정책팀장>
임 팀장은 시에서 추진할 공단 중심 독서동아리와 실무에 필요한 독서/지식경영을 위한 ‘책 읽는 일터 도서관’과 연말에 독서관련 기관 및 시민들이 한 해의 독서활동을 총정리 하는 ‘책 읽는 파주 대회’를 신규사업으로 발표했다.
이어 신주호 교육지원과 담당자는 작은도서관 활성화 세부사업으로 △협력사서 배치 및 역할 △작은도서관 지원사업 안내를 한 후 마지막으로 작은도서관의 담당 실무자들과 운영자들과의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클릭하면 큰 이미지로 볼수 있습니다.큰 이미지 보기
<신주호 교육지원과 담당자가 세부사항을 설명한뒤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파주시는 ‘책 읽는 파주’를 위해 2020년까지 공공도서관 중심으로 읍면동, 작은학교도서관 등 독서 유관기관 협력해 독서 협의체를 구성하고, 기존 14개이던 공공도서관을 19개소로 늘리며 작은 도서관의 활성화를 추진하게 된다.
파주시 전체 작은 도서관 중 공립은 7개소, 사립은 65개소가 있는데 중앙권역(25개소), 교하권역(29개소), 가람권역(18개소)인 3권역으로 배분해 각 권역 당 1명의 협력사서를 배치했다.
‘협력사서’란 파주시 작은 도서관 활성화를 위해 지원하고 다양한 협력모델을 개발해 파주시 독서문화 발전을 위해 공공작은 도서관의 공유와 협력, 작은도서관 운영 현황 조사 및 컨설팅, 작은도서관 활성화 프로그램 공모사업 등을 추진한다.
파주시에 등록된 작은 도서관은 이번 ‘프로그램 공모사업’과 ‘청소년 쉼터 공모사업’의 공모신청과 심사 및 선정을 통해 사인물 제작(간판, 지시대 등)과 작은도서관 운영 교육자료 제작, 워크숍 및 간담회 운영 등에 대한 지원을 받게 된다.
최근 파주시 중앙도서관 4층 강연실에서 열린 작은 도서관 사업설명회는 △작은 도서관 활성화 사업소개 △작은 도서관 활성화 세부사업 안내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파주시 임봉성 교육지원과 도서관 정책팀장은 이번 설명회에서 △도서관 현황 및 성과 △독서진흥정책 방향 및 목표를 제시 △책 있는 파주 신규사업 △작은 도서관 활성화 지원에 대한 작은 도서관 활성화 사업을 소개했다.
임 팀장은 시에서 추진할 공단 중심 독서동아리와 실무에 필요한 독서/지식경영을 위한 ‘책 읽는 일터 도서관’과 연말에 독서관련 기관 및 시민들이 한 해의 독서활동을 총정리 하는 ‘책 읽는 파주 대회’를 신규사업으로 발표했다.
이어 신주호 교육지원과 담당자는 작은도서관 활성화 세부사업으로 △협력사서 배치 및 역할 △작은도서관 지원사업 안내를 한 후 마지막으로 작은도서관의 담당 실무자들과 운영자들과의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클릭하면 큰 이미지로 볼수 있습니다.큰 이미지 보기
‘책 읽는 파주’ 실현을 골자로 관내 '작은 도서관' 운영자를 대상으로 지속가능의 활성화를 위한 첫 사업 설명회가 열렸다.
최근 파주시 중앙도서관 4층 강연실에서 열린 작은 도서관 사업설명회는 △작은 도서관 활성화 사업소개 △작은 도서관 활성화 세부사업 안내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파주시 임봉성 교육지원과 도서관 정책팀장은 이번 설명회에서 △도서관 현황 및 성과 △독서진흥정책 방향 및 목표를 제시 △책 있는 파주 신규사업 △작은 도서관 활성화 지원에 대한 작은 도서관 활성화 사업을 소개했다.
클릭하면 큰 이미지로 볼수 있습니다.큰 이미지 보기
<파주시 교육지원과의 임봉성도서관 정책팀장>
임 팀장은 시에서 추진할 공단 중심 독서동아리와 실무에 필요한 독서/지식경영을 위한 ‘책 읽는 일터 도서관’과 연말에 독서관련 기관 및 시민들이 한 해의 독서활동을 총정리 하는 ‘책 읽는 파주 대회’를 신규사업으로 발표했다.
이어 신주호 교육지원과 담당자는 작은도서관 활성화 세부사업으로 △협력사서 배치 및 역할 △작은도서관 지원사업 안내를 한 후 마지막으로 작은도서관의 담당 실무자들과 운영자들과의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클릭하면 큰 이미지로 볼수 있습니다.큰 이미지 보기
<신주호 교육지원과 담당자가 세부사항을 설명한뒤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파주시는 ‘책 읽는 파주’를 위해 2020년까지 공공도서관 중심으로 읍면동, 작은학교도서관 등 독서 유관기관 협력해 독서 협의체를 구성하고, 기존 14개이던 공공도서관을 19개소로 늘리며 작은 도서관의 활성화를 추진하게 된다.
파주시 전체 작은 도서관 중 공립은 7개소, 사립은 65개소가 있는데 중앙권역(25개소), 교하권역(29개소), 가람권역(18개소)인 3권역으로 배분해 각 권역 당 1명의 협력사서를 배치했다.
‘협력사서’란 파주시 작은 도서관 활성화를 위해 지원하고 다양한 협력모델을 개발해 파주시 독서문화 발전을 위해 공공작은 도서관의 공유와 협력, 작은도서관 운영 현황 조사 및 컨설팅, 작은도서관 활성화 프로그램 공모사업 등을 추진한다.
파주시에 등록된 작은 도서관은 이번 ‘프로그램 공모사업’과 ‘청소년 쉼터 공모사업’의 공모신청과 심사 및 선정을 통해 사인물 제작(간판, 지시대 등)과 작은도서관 운영 교육자료 제작, 워크숍 및 간담회 운영 등에 대한 지원을 받게 된다.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3843 | [충북]‘2019년 대한민국 독서대전 시민기획단’ 출범 | 매체 :내외뉴스통신 | 보도일 :2019.06.21 |
3842 | [제주]제주시 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 마중물배움터 확대 | 매체 :헤드라인제주 | 보도일 :2019.06.21 |
3841 | [서울]영등포 출퇴근길, 스마트도서관에서 책 빌려 본다 | 매체 :헤럴드경제 | 보도일 :2019.06.21 |
3840 | [전남]목포시의회 이금이 의원, 작은 도서관 운영 방안 제시 | 매체 :프라임경제 | 보도일 :2019.06.20 |
3839 | [인터뷰]정경미 흥덕마을 작은도서관 연합회 대표 "8년째 이어진 책 잔치… 사람들도 성장했죠" | 매체 :중부일보 | 보도일 :2019.06.19 |
3838 | [전남]순천시, 시민들의 삶속에 문화가 있는 도시로 | 매체 :위키트리 | 보도일 :2019.06.19 |
3837 | [전국]작은 동네 생활 SOC시설 넓어진다…배드민턴장·도서관 등 | 매체 :메디컬월드뉴스 | 보도일 :2019.06.19 |
3836 | [전북]정읍시 “전북 서남권 문화 허브 되겠다” | 매체 :nsp통신 | 보도일 :2019.06.19 |
3835 | [광주]균형위, 오늘 광주서 ‘호남권 생활SOC 복합화’ 사업설명회 | 매체 :광주매일신문 | 보도일 :2019.06.19 |
3834 | [부산]부산진구, 다행복교육 ‘작은 도서관 속 큰 세상’ 운영 | 매체 :뉴스핌 | 보도일 :2019.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