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부산][사설] 공공도서관 신축 환영하나 운영이 더 중요하다
매체명 : 국제신문
보도일 : 2017.03.24
부산시가 오는 2025년까지 29개 공공도서관을 건립하기로 했다고 한다. 31개 작은도서관도 4년 내 들어선다. 창의성과 상상력의 원천인 공공도서관을 확충하겠다는 계획 자체가 진전이다. 신설 도서관과는 별개로 부산시와 부산시교육청이 노후 도서관 리모델링은 물론 부산 대표도서관을 중심으로 16개 구·군별 거점 도서관, 작은도서관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기로 한 것도 주목된다. '도서관을 지식 놀이터로' 활용하자고 제안한 본지로서는 시의 계획을 환영해 마지 않는다.
사실 그동안 부산의 공공도서관은 상당히 낙후된 수준이었다. 38개 도서관별 평균 인구수는 9만여 명에 달해 7대 도시 중 최악이었다. 장서 규모도 470만 권에 그쳐 시민 1인당 1.35권으로 최저였다. 질적인 문제는 차치하고 양적인 면에서 기본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계획대로 진척이 된다면 OECD 권장 수준에 도달해 하드웨어는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비 40% 등 2200억 원에 달하는 예산 조달의 어려움이 있겠으나 의지만 있다면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다.
도서관은 한 시대의 문화융성을 좌우하는 바로미터다. 세계 최고의 도서관을 지닌 국가는 그 시대 세계 문화의 리더로 활약한다. 제2의 도시라는 부산의 공공도서관 장서는 서울대 장서보다 못하다. 서울대 장서는 또 미국 하버드대 장서의 4분의 1에 불과하다. 세계 최대의 도서관이 미국, 일본에 집중돼 있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국가도 그렇지만 도시의 질은 도서관의 규모에 비례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부산시는 도서량 확충에 힘을 쏟아야 한다.
도서의 양과 시설 규모는 일정 부분 질을 담보한다. 그렇긴 한데 질의 향상은 그냥 주어지는 게 아니다. 시가 도서관의 독서실 역할을 축소하고 대신 프로그램 확충 등 운영에 신경 쓴 것은 그런 면에서 옳은 방향이다. 이왕이면 미래의 도서관을 만들면 금상첨화다. 미려한 건축 디자인을 바탕으로 문화 예술의 복합 공간, 생활 속 만남의 장소가 되도록 배려해야 한다. 지식, 영상 등을 디지털화하는 한편 정보의 소비를 넘어 생산 중심지가 되도록 하는 것도 빠뜨려선 안 될 부분이다.
사실 그동안 부산의 공공도서관은 상당히 낙후된 수준이었다. 38개 도서관별 평균 인구수는 9만여 명에 달해 7대 도시 중 최악이었다. 장서 규모도 470만 권에 그쳐 시민 1인당 1.35권으로 최저였다. 질적인 문제는 차치하고 양적인 면에서 기본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계획대로 진척이 된다면 OECD 권장 수준에 도달해 하드웨어는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비 40% 등 2200억 원에 달하는 예산 조달의 어려움이 있겠으나 의지만 있다면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다.
도서관은 한 시대의 문화융성을 좌우하는 바로미터다. 세계 최고의 도서관을 지닌 국가는 그 시대 세계 문화의 리더로 활약한다. 제2의 도시라는 부산의 공공도서관 장서는 서울대 장서보다 못하다. 서울대 장서는 또 미국 하버드대 장서의 4분의 1에 불과하다. 세계 최대의 도서관이 미국, 일본에 집중돼 있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국가도 그렇지만 도시의 질은 도서관의 규모에 비례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부산시는 도서량 확충에 힘을 쏟아야 한다.
도서의 양과 시설 규모는 일정 부분 질을 담보한다. 그렇긴 한데 질의 향상은 그냥 주어지는 게 아니다. 시가 도서관의 독서실 역할을 축소하고 대신 프로그램 확충 등 운영에 신경 쓴 것은 그런 면에서 옳은 방향이다. 이왕이면 미래의 도서관을 만들면 금상첨화다. 미려한 건축 디자인을 바탕으로 문화 예술의 복합 공간, 생활 속 만남의 장소가 되도록 배려해야 한다. 지식, 영상 등을 디지털화하는 한편 정보의 소비를 넘어 생산 중심지가 되도록 하는 것도 빠뜨려선 안 될 부분이다.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6205 | [서울] 구립 은뜨락도서관, 작은도서관 연계 ‘책꾸러기의 여름나기’ 운영 | 매체 :베이비타임즈 | 보도일 :2022.07.26 |
6204 | [충북] 청주시립도서관, 순회문고 장기대출 서비스 | 매체 :충청매일 | 보도일 :2022.07.26 |
6203 | [서울] 종로, 함께 읽고 토론하며 ‘책 읽는 재미’ 퐁당… 문해력 향상은 덤 | 매체 :신아일보 | 보도일 :2022.07.25 |
6202 | [경기] 안성시, '양서작은도서관' 본격 운영… "지역주민 커뮤니티 공간으로 사랑받길" | 매체 :중부일보 | 보도일 :2022.07.25 |
6201 | [전북] 진안 작은도서관들이 모여 글쓰기 공모전 개최 | 매체 :새전북신문 | 보도일 :2022.07.25 |
6200 | [경북] 상주 모동면 정양마을, 귀농인 농업 일자리 탐색교육 | 매체 :경상매일신문 | 보도일 :2022.07.24 |
6199 | [서울] 노원구, 순례주택-유은실 연년세세-황정은 등 ‘올해의 책’ 선정 | 매체 :한국강사신문 | 보도일 :2022.07.22 |
6198 | [울산] 울산사회적경제지원센터 신중년 사회공헌사업팀과 다문화작은도서관, 제1회 다문화작은도서관 ‘책과 음악이 있는 작은도서관 음악회’를 개최 | 매체 :경상일보 | 보도일 :2022.07.21 |
6197 | [충북] 증평군, 저출산 대응 공모에 선정…특교세 3억 확보 | 매체 :뉴스1 | 보도일 :2022.07.21 |
6196 | [제주] 중앙꿈쟁이작은도서관#성인원데이클래스-안티버그레진스톤 | 매체 :미디어제주 | 보도일 :2022.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