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문체부, 세종도서 선정 ‘더 공정하게’
매체명 : 세계일보
보도일 : 2017.04.06
정부가 전국 도서관에 비치할 우수도서를 선정하는 세종도서 사업의 객관성을 강화하기 위해 심사위원을 추첨으로 뽑는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심사위원 풀제, 참여위원 추첨제, 심의정보 공개 등 공정성 강화 방안을 담은 ‘2017년 상반기 세종도서 선정 계획’을 5일 발표했다.
올해부터 세종도서를 선정할 심사위원은 각급 단체나 추천위원회 추천을 받아 구성한 심사위원 후보자군(풀)에서 무작위 추첨을 통해 뽑힌다. 학술, 교양 도서 심사위원의 경우 한국경제학회 등 177개 단체와 학회의 추천을 받아 분과별로 3~5배수의 심사위원 후보자군을 구성한 뒤 추첨한다.
문학나눔 분야 도서는 심사위원은 물론 심사위원을 추천할 추천위원 선발까지 두 단계에 걸쳐 풀제와 추첨제를 적용하기로 했다. 우선 한국문인협회 등 40개 단체와 학회 추천을 받아 3~5배수로 구성한 심사위원 추천위원 후보자군에서 추첨으로 15명 내외의 추천위원을 선정한다. 이들 추천위원 추천으로 분과별로 3~5배수로 구성한 심사위원 후보자군에서 추첨을 통해 심사위원을 최종 선발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심사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심사 단계별로 심사평과 회의록을 작성해 도서 선정 결과를 발표할 때 공개하기로 했다.
문체부는 대형 서적도매상인 송인서적 부도 등으로 침체된 출판계에 힘을 싣기 위해 올 상반기 세종도서 선정 종수를 대폭 확대한다. 상반기 학술(320종), 교양(220종), 문학나눔(250종) 분야 총 790종을 선정해 85억원어치의 도서를 구매할 계획이다. 작년 상반기에는 학술 분야에서만 319종, 35억원500만원어치를 구매했다. 연간 예산은 작년과 올해 모두 140억원이다.
지난달 20~30일 진행된 상반기 세종도서 신청 접수에는 9069종이 접수돼 지난해(9.8대 1)보다 높은 11.5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부문별로는 학술 4013종, 교양 3429종, 문학나눔 1627종이 접수됐다. 상반기 세종도서 선정 결과는 7월 말 발표한다.
세종도서는 정부가 전국 공공도서관 등에 비치할 우수 도서를 선정해 종당 1천만원 이내로 구매해주는 출판지원사업으로 1968년부터 시행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심사위원 풀제, 참여위원 추첨제, 심의정보 공개 등 공정성 강화 방안을 담은 ‘2017년 상반기 세종도서 선정 계획’을 5일 발표했다.
올해부터 세종도서를 선정할 심사위원은 각급 단체나 추천위원회 추천을 받아 구성한 심사위원 후보자군(풀)에서 무작위 추첨을 통해 뽑힌다. 학술, 교양 도서 심사위원의 경우 한국경제학회 등 177개 단체와 학회의 추천을 받아 분과별로 3~5배수의 심사위원 후보자군을 구성한 뒤 추첨한다.
문학나눔 분야 도서는 심사위원은 물론 심사위원을 추천할 추천위원 선발까지 두 단계에 걸쳐 풀제와 추첨제를 적용하기로 했다. 우선 한국문인협회 등 40개 단체와 학회 추천을 받아 3~5배수로 구성한 심사위원 추천위원 후보자군에서 추첨으로 15명 내외의 추천위원을 선정한다. 이들 추천위원 추천으로 분과별로 3~5배수로 구성한 심사위원 후보자군에서 추첨을 통해 심사위원을 최종 선발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심사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심사 단계별로 심사평과 회의록을 작성해 도서 선정 결과를 발표할 때 공개하기로 했다.
문체부는 대형 서적도매상인 송인서적 부도 등으로 침체된 출판계에 힘을 싣기 위해 올 상반기 세종도서 선정 종수를 대폭 확대한다. 상반기 학술(320종), 교양(220종), 문학나눔(250종) 분야 총 790종을 선정해 85억원어치의 도서를 구매할 계획이다. 작년 상반기에는 학술 분야에서만 319종, 35억원500만원어치를 구매했다. 연간 예산은 작년과 올해 모두 140억원이다.
지난달 20~30일 진행된 상반기 세종도서 신청 접수에는 9069종이 접수돼 지난해(9.8대 1)보다 높은 11.5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부문별로는 학술 4013종, 교양 3429종, 문학나눔 1627종이 접수됐다. 상반기 세종도서 선정 결과는 7월 말 발표한다.
세종도서는 정부가 전국 공공도서관 등에 비치할 우수 도서를 선정해 종당 1천만원 이내로 구매해주는 출판지원사업으로 1968년부터 시행됐다.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1795 | [경기]이천시, 작은도서관 육성 시범지구사업 설명회 | 매체 :아시아투데이 | 보도일 :2016.09.08 |
1794 | [서울]서울동대문도서관 10월까지 우리마을 도서관탐방 운영 | 매체 :뉴시스 | 보도일 :2016.09.08 |
1793 | [서울]구로구 작은도서관 이전개소식, 주민 축제 등 다양한 동 행사 열려 | 매체 :여성종합뉴스 | 보도일 :2016.09.07 |
1792 | [인천]인천 미추홀도서관, 사서 직무교육 실시 | 매체 :동양뉴스 | 보도일 :2016.09.07 |
1791 | [전북]익산 공공영상미디어센터, 공공영화상영 허브 발돋움 | 매체 :전라일보 | 보도일 :2016.09.07 |
1790 | [경기]경기도 시흥시에서 활동중인 참새방앗간 (따복공동체) | 매체 :경인방송 | 보도일 :2016.09.06 |
1789 | [강원]영월군, 9일 '월담 작은도서관' 재개관 | 매체 :내외통신뉴스 | 보도일 :2016.09.06 |
1788 | ['책 읽는 지자체'를 만나다 연재기사 ⑬ 서울시 송파구] 장소·계절맞춤 특화도서관으로 승부 | 매체 :내일신문 | 보도일 :2016.09.05 |
1787 | [전북]책을 가까이, 도서관을 더 가까이 | 매체 :군산미래신문 | 보도일 :2016.09.05 |
1786 | 주민의 문화 사랑방, 2016 작은도서관 운영자 권역별 워크숍 열려 | 매체 :페어뉴스 | 보도일 :2016.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