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서평]마을도서관은 책 하나를 촛불로 키운다
매체명 : 오마이뉴스
보도일 : 2017.10.14
- 링크주소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ss_pg.aspx?CNTN_CD=A0002367692&PAGE_CD=N0002&CMPT_CD=M0142
1990년대에서 2000년대로 접어들고서 2010년대로 이르는 동안을 가만히 되새깁니다. 이 스무 해 사이에 한국에서는 마을책방(동네책방)이라고 하는 곳이 대단히 많이 문을 닫았습니다. 이제 마을에서 자그마한 책방은 책을 팔아서 먹고살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높았어요. 참고서 장사조차 안 된다고들 했지요.
이 흐름은 틀리지 않다고 느껴요. 더욱이 이 흐름은 우리한테 앞으로 새로운 마을책방이 서야 한다는 뜻이라고도 느껴요. 이제는 참말로 큰책방이든 작은책방이든 서울책방이든 마을책방이든 '참고서에 안 기대고 오로지 책다운 책으로 마을이웃을 만나는 새로운 책방으로 거듭날 노릇'이라고 할까요. 마을책방이 마을에서 제대로 버티거나 뿌리를 내리려면 참고서를 책꽂이에서 털어낼 노릇이라고도 할 만합니다.
참고서라고 해서 나쁠 일은 없겠지요. 다만 한국 사회에서 참고서란, 거의 모두 대학입시에서 쓰고, 대학입시는 아이들을 줄세우는 계급장을 가르는 구실을 했어요. 배움길에 도움(참고)이 되는 책인 도움책(참고서)이 아닌, 그저 대학입시 시험공부 문제풀이에만 치우친 책이라면, 앞으로는 사람들이 이러한 책에 등을 돌리기 마련이라고 할 만해요. 오늘날 새로운 마을책방은 학습·입시 참고서에서 벗어나 '삶에 길동무가 되는 도움책'을 갖추는 길로 거듭나야 하고, '작은 사람이 마을에서 손수 살림을 짓는 길에 벗님이 되는 도움책'을 나누는 길로 거듭나야지 싶기도 합니다.
내가 먼저 그에게 나의 꿈을 말했다. "길모퉁이마다 작은 도서관을 만들고 싶어! 그곳에서 서로 배움을 나누는 작은 모임을 열고 싶어! 동네도서관으로 세상을 바꾸고 싶어!" (47쪽)
사람들과 교류하면서 배움을 나눌 기회를 얻고 싶었다. 거기에는 번듯한 장소가 없어도 된다. 책은 각자 갖고 오면 된다. 결국, 문제는 자금이 아니었다. (49쪽)
이 흐름은 틀리지 않다고 느껴요. 더욱이 이 흐름은 우리한테 앞으로 새로운 마을책방이 서야 한다는 뜻이라고도 느껴요. 이제는 참말로 큰책방이든 작은책방이든 서울책방이든 마을책방이든 '참고서에 안 기대고 오로지 책다운 책으로 마을이웃을 만나는 새로운 책방으로 거듭날 노릇'이라고 할까요. 마을책방이 마을에서 제대로 버티거나 뿌리를 내리려면 참고서를 책꽂이에서 털어낼 노릇이라고도 할 만합니다.
참고서라고 해서 나쁠 일은 없겠지요. 다만 한국 사회에서 참고서란, 거의 모두 대학입시에서 쓰고, 대학입시는 아이들을 줄세우는 계급장을 가르는 구실을 했어요. 배움길에 도움(참고)이 되는 책인 도움책(참고서)이 아닌, 그저 대학입시 시험공부 문제풀이에만 치우친 책이라면, 앞으로는 사람들이 이러한 책에 등을 돌리기 마련이라고 할 만해요. 오늘날 새로운 마을책방은 학습·입시 참고서에서 벗어나 '삶에 길동무가 되는 도움책'을 갖추는 길로 거듭나야 하고, '작은 사람이 마을에서 손수 살림을 짓는 길에 벗님이 되는 도움책'을 나누는 길로 거듭나야지 싶기도 합니다.
내가 먼저 그에게 나의 꿈을 말했다. "길모퉁이마다 작은 도서관을 만들고 싶어! 그곳에서 서로 배움을 나누는 작은 모임을 열고 싶어! 동네도서관으로 세상을 바꾸고 싶어!" (47쪽)
사람들과 교류하면서 배움을 나눌 기회를 얻고 싶었다. 거기에는 번듯한 장소가 없어도 된다. 책은 각자 갖고 오면 된다. 결국, 문제는 자금이 아니었다. (49쪽)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4440 | [경기]김포시 공공도서관, 코로나19 장기화 대비 단계적 운영 | 매체 :일요서울 | 보도일 :2020.05.06 |
4439 | [서울]종로구, 문화예술·전통문화·인문학 등 '동네배움터' 운영 | 매체 :아시아경제 | 보도일 :2020.05.06 |
4438 | [충북]정부 생활SOC 복합화 공모에 음성군, 삼성면 문화센터 신청 | 매체 :충청일보 | 보도일 :2020.05.05 |
4437 | [경기]‘포천 우리동네 학습공간’ 신북작은도서관 벽화 그리기·화단 조성 | 매체 :기호일보 | 보도일 :2020.05.05 |
4436 | [부산]부산시, ‘생활 속 거리두기’ 공공시설 단계적 개방 | 매체 :쿠키뉴스 | 보도일 :2020.05.05 |
4435 | [경기]화성오산교육청, 작은도서관과 방과후 마을학교 운영 약정 체결 | 매체 :기호일보 | 보도일 :2020.05.04 |
4434 | [제주]"아동 교육 생각하다"…제주 어린이날 감성 선물 '눈길' | 매체 :제민일보 | 보도일 :2020.05.04 |
4433 | [경기]경기도 내년도 주민참여예산 도민제안사업 500건 접수 | 매체 :데일리한국 | 보도일 :2020.05.04 |
4432 | [사설]인천동구 독서교육문화 중심지로 자리잡은 도세권 | 매체 :케이에스피뉴스 | 보도일 :2020.05.03 |
4431 | [인천]인천 동구, 책과 함께 꿈꾸는 교육문화도시 조성 | 매체 :중부일보 | 보도일 :2020.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