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한국작은도서관협회 '지속가능한 아파트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 포럼 개최

매체명 : 더리더 보도일 : 2018.10.26
링크주소
http://theleader.mt.co.kr/articleView.html?no=2018102615027817344
한국작은도서관협회 '지속가능한 아파트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 포럼 개최

(사)한국도서관협회(회장 이상복) 주최로 열리는 제55회 전국도서관대회가 24일부터 26일까지 이천여 명이 모인가운데 정선 하이원리조트에서 열렸다. (사)한국작은도서관협회(이사장 정기원)는 이 대회에 여러번 참석했지만 포럼은 처음으로 주관했다.

‘지속가능한 아파트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이란 주제로 강춘근 협회 이사가 진행을 맡고, 발제에 정기원 이사장이 ‘아파트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을, ‘운영 사례발표’에 판교 백현3 꿈꾸는작은도서관 정수미 간사가, ‘아파트도서관 문제점과 대응’에 대하여 송파 푸른작은도서관 김경이 관장이 발표를 했다.

아파트도서관은「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제55조의2(주민공동시설) 에 따라 500세대 이상이면 의무적으로 설치를 해야 한다. 그러나 아파트도서관은 정체성도 없고, 운영에 특별한 가이드라인도 없어 운영에 여러 문제점을 도출하고 있다. 2017년 통계 약 1,650개로 작은도서관 약 6,500개의 33.6%를 차지하고 있으며 급속하게 증가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잘 운영할 수 있는 특별한 대책이 없이 법에 따라 설치만 해놓고 문을 닫아 책창고가 되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입주민이 밀집 거주하기에 독서저변확대에 최적지이지만 설치법령만 있고 운영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경험이 없어 혼수상태인 아파트도서관들이 많은 것이다.

이번에 아파트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을 발표한 정 이사장은 아파트도서관의 지속가능한 발전 차원에서 일곱 가지를 제시했다. 첫째, 운영주체의 작은도서관에 대한 이해가 가장 중요하여 입주자대표회의, 관리소장, 운영위원회의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커뮤니티공간으로 입주민들의 심적 욕구충족과 민원해결 셋째, 폭넓은 홍보와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 넷째, 주민들의 작품 전시회 및 갤러리 역할, 다섯째, 어린이부터 노년까지 다양한 이용자 확보, 여섯째, 자립목표로 기부문화 확산, 일곱 번째, 주변 아파트작은도서관과 네트워크 협력 등을 제시했다.

정 이사장은 “아파트작은도서관의 문제점만 보지 말고 긍정적인 활성화 목표로 아파트만의 장점을 살려 운영해야 한다. 따라서 운영주체의 도서관에 대한 바른 이해와 몇 사람의 봉사정신이 활성화된 아파트도서관을 이끌어 갈수 있다고 역설하며 앞으로 한국작은도서관협회는 아파트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 임윤희 기자
댓글 0건
작은도서관 회원 및 SNS계정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0자 / 140자
    작은도서관 뉴스 목록
    번호 제목 매체 보도일
    4843 [경남]진주 혁신도시 LH3단지 작은도서관 재탄생 매체 :베리타스알파 보도일 :2020.11.17
    4842 [경남]꿈꾸는 산호 작은 도서관 '활짝' 매체 :경남도민일보 보도일 :2020.11.16
    4841 [경기]파주시, 치매인식개선! 작은도서관과 함께해요 매체 :업코리아 보도일 :2020.11.16
    4840 [경남]경남혁신도시 아파트내 '작은도서관', 리모델링으로 다시 태어났다 매체 :미래한국 보도일 :2020.11.16
    4839 [서울]동작구 서달산 숲속작은도서관, 주민쉼터로 탈바꿈 매체 :아시아투데이 보도일 :2020.11.16
    4838 [경기]수원시, ‘지역돌봄협의체’ 회의 개최, 돌봄 정책연구 결과 공유 매체 :매일일보 보도일 :2020.11.16
    4837 [경북]영양 수비면작은도서관, 10년 만에 새 단장 매체 :경상매일신문 보도일 :2020.11.15
    4836 [충북]옥천군평생학습원 사립 작은 도서관 '외면' 매체 :충북일보 보도일 :2020.11.15
    4835 [부산]사하구, 1일 작은도서관 체험학습 운영 매체 :국제뉴스 보도일 :2020.11.13
    4834 [전남]목포시립도서관, 관내 작은도서관 대상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매체 :위키트리 보도일 :2020.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