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포럼]한국작은도서관협회 '지속가능한 아파트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 포럼 개최
매체명 : 더리더
보도일 : 2018.10.26
한국작은도서관협회 '지속가능한 아파트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 포럼 개최
(사)한국도서관협회(회장 이상복) 주최로 열리는 제55회 전국도서관대회가 24일부터 26일까지 이천여 명이 모인가운데 정선 하이원리조트에서 열렸다. (사)한국작은도서관협회(이사장 정기원)는 이 대회에 여러번 참석했지만 포럼은 처음으로 주관했다.
‘지속가능한 아파트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이란 주제로 강춘근 협회 이사가 진행을 맡고, 발제에 정기원 이사장이 ‘아파트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을, ‘운영 사례발표’에 판교 백현3 꿈꾸는작은도서관 정수미 간사가, ‘아파트도서관 문제점과 대응’에 대하여 송파 푸른작은도서관 김경이 관장이 발표를 했다.
아파트도서관은「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제55조의2(주민공동시설) 에 따라 500세대 이상이면 의무적으로 설치를 해야 한다. 그러나 아파트도서관은 정체성도 없고, 운영에 특별한 가이드라인도 없어 운영에 여러 문제점을 도출하고 있다. 2017년 통계 약 1,650개로 작은도서관 약 6,500개의 33.6%를 차지하고 있으며 급속하게 증가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잘 운영할 수 있는 특별한 대책이 없이 법에 따라 설치만 해놓고 문을 닫아 책창고가 되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입주민이 밀집 거주하기에 독서저변확대에 최적지이지만 설치법령만 있고 운영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경험이 없어 혼수상태인 아파트도서관들이 많은 것이다.
이번에 아파트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을 발표한 정 이사장은 아파트도서관의 지속가능한 발전 차원에서 일곱 가지를 제시했다. 첫째, 운영주체의 작은도서관에 대한 이해가 가장 중요하여 입주자대표회의, 관리소장, 운영위원회의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커뮤니티공간으로 입주민들의 심적 욕구충족과 민원해결 셋째, 폭넓은 홍보와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 넷째, 주민들의 작품 전시회 및 갤러리 역할, 다섯째, 어린이부터 노년까지 다양한 이용자 확보, 여섯째, 자립목표로 기부문화 확산, 일곱 번째, 주변 아파트작은도서관과 네트워크 협력 등을 제시했다.
정 이사장은 “아파트작은도서관의 문제점만 보지 말고 긍정적인 활성화 목표로 아파트만의 장점을 살려 운영해야 한다. 따라서 운영주체의 도서관에 대한 바른 이해와 몇 사람의 봉사정신이 활성화된 아파트도서관을 이끌어 갈수 있다고 역설하며 앞으로 한국작은도서관협회는 아파트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 임윤희 기자
(사)한국도서관협회(회장 이상복) 주최로 열리는 제55회 전국도서관대회가 24일부터 26일까지 이천여 명이 모인가운데 정선 하이원리조트에서 열렸다. (사)한국작은도서관협회(이사장 정기원)는 이 대회에 여러번 참석했지만 포럼은 처음으로 주관했다.
‘지속가능한 아파트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이란 주제로 강춘근 협회 이사가 진행을 맡고, 발제에 정기원 이사장이 ‘아파트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을, ‘운영 사례발표’에 판교 백현3 꿈꾸는작은도서관 정수미 간사가, ‘아파트도서관 문제점과 대응’에 대하여 송파 푸른작은도서관 김경이 관장이 발표를 했다.
아파트도서관은「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제55조의2(주민공동시설) 에 따라 500세대 이상이면 의무적으로 설치를 해야 한다. 그러나 아파트도서관은 정체성도 없고, 운영에 특별한 가이드라인도 없어 운영에 여러 문제점을 도출하고 있다. 2017년 통계 약 1,650개로 작은도서관 약 6,500개의 33.6%를 차지하고 있으며 급속하게 증가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잘 운영할 수 있는 특별한 대책이 없이 법에 따라 설치만 해놓고 문을 닫아 책창고가 되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입주민이 밀집 거주하기에 독서저변확대에 최적지이지만 설치법령만 있고 운영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경험이 없어 혼수상태인 아파트도서관들이 많은 것이다.
이번에 아파트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을 발표한 정 이사장은 아파트도서관의 지속가능한 발전 차원에서 일곱 가지를 제시했다. 첫째, 운영주체의 작은도서관에 대한 이해가 가장 중요하여 입주자대표회의, 관리소장, 운영위원회의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커뮤니티공간으로 입주민들의 심적 욕구충족과 민원해결 셋째, 폭넓은 홍보와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 넷째, 주민들의 작품 전시회 및 갤러리 역할, 다섯째, 어린이부터 노년까지 다양한 이용자 확보, 여섯째, 자립목표로 기부문화 확산, 일곱 번째, 주변 아파트작은도서관과 네트워크 협력 등을 제시했다.
정 이사장은 “아파트작은도서관의 문제점만 보지 말고 긍정적인 활성화 목표로 아파트만의 장점을 살려 운영해야 한다. 따라서 운영주체의 도서관에 대한 바른 이해와 몇 사람의 봉사정신이 활성화된 아파트도서관을 이끌어 갈수 있다고 역설하며 앞으로 한국작은도서관협회는 아파트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 임윤희 기자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4033 | [김해]김해문화재단 "시민이 원하는 주제로 만든 토론회 지원" | 매체 :뉴스핌 | 보도일 :2019.10.01 |
4032 | [전국]생활형 SOC 복합화사업, 이번주내로 결론난다 | 매체 :건설경제신문 | 보도일 :2019.10.01 |
4031 | [서울]영등포구 당산골 폐업카페 '마을도서관' 변신 | 매체 :아시아경제 | 보도일 :2019.10.01 |
4030 | [전국]'수백억 예산 쏟아 부었는데' 휴·폐관한 작은도서관 전국에 2,435개 | 매체 :일요서울 | 보도일 :2019.10.01 |
4029 | [서울]구로구, 1호 우리동네키움센터 개소 | 매체 :아시아경제 | 보도일 :2019.09.30 |
4028 | [경남]시설안전공단, 지역 '작은도서관’에 무상 안전지원 | 매체 :뉴스메이커 | 보도일 :2019.09.29 |
4027 | [경기]고양시, 작은도서관 활성화 문해교사 역량강화 등 평생교육 관계자 전문연수 ‘줏대잡이 학교’ 운영 | 매체 :한국강사신문 | 보도일 :2019.09.29 |
4026 | [광주]광주 서구,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 모색 | 매체 :아시아경제 | 보도일 :2019.09.27 |
4025 | [세종]세종보건소 치매극복선도도서관 지정·운영 | 매체 :중도일보 | 보도일 :2019.09.27 |
4024 | [전북]북소리 가득한 가을맞이 책잔치 열린다 | 매체 :뉴스렙 | 보도일 :2019.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