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경기]김포시 도서정책 일원화 갈길 바쁘다
매체명 : 인천일보
보도일 : 2018.12.10
김포시 도서정책 일원화 갈길 바쁘다
김포시가 최근 조직개편을 통해 시 도서정책의 일원화를 추진하려 했으나 아직 일부 도서관의 경우 여전히 위탁운영돼 겉돌고 있다는 지적이다.
9일 시에 따르면 1998년 김포시 최초 시립도서관인 중봉도서관(북변동)이 개관하면서 권역별 도서관건립 계획에 따라 지난 20년 간 지역 내 통진과 양촌, 고촌도서관 등 4개 도서관과 구래동 등 4개 지역에작은 도서관 등 모두 8곳의 시립도서관이 개관했다.
지난달 준공을 마치고 내년 1월 개관이 예정된 장기도서관까지 합하면 김포시립도서관은 작은 도서관을 합해 총 9곳에 이른다.
이에 따라 시는 정부의 공공도서관 정책방향에 맞춰 지난 8월 도서정책 전문화와 다양화를 위해 행정조직개편을 통해 평생학습센터 내 '도서관과'를 사업소로 분리해 공공도서정책 추진에 힘을 실어줬다.
하지만 통진도서관은 시립도서관이면서도 사업소의 관리를 받지 않고 있어 시의 도서관 정책 연계와의 효율성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현재 통진도서관은 위탁운영에 따라 직원 인사와 예산편성은 물론, 운영 프로그램까지 시설관리공단이 맡고 있다.
이때문에 지난달 8일 열린 시립도서관 운영위원회에서도 공공도서관의 효율적 운영과 공공성·공익성 강화를 위해 통진 도서관 직영 문제가 거론되기까지 했다.
통진도서관은 문화소외 지역인 월곶과 하성, 대곶, 통진 등 김포지역 북부권 주민들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시·도비 등 80억여 원을 들어 2009년 김포시의 두 번째 시립도서관으로 개관했다.
그러나 IMF 외환위기에 따른 당시 정부의 작은 정부 지향방침에 따라 사서직 공무원 정원을 승인하지 않아 김포시설관리공단이 위탁을 맡아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여기에 통진도서관이 정부의 사업비 지원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는 직영을 권고한 공공도서관에 해당 돼 더이상 직영을 늦춰서는 안 된다는 우려의 목소리까지 더해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015년 11월 공공도서관 위탁운영에 반대 입장을 전달하고 위탁운영 지자체에 사업비 국·도비 보조율 하향지원을 들어 공공도서관의 직영 운영을 권고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보조금 등 사업예산 확보와 정책일원화를 위해 전국적으로 위탁 공공도서관의 직영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며 "늦었지만 이 같은 추세와 도서 정책 일원화, 관리 문제 등을 놓고 통진도서관의 직영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 권용국기자 ykkwun@incheonilbo.com
김포시가 최근 조직개편을 통해 시 도서정책의 일원화를 추진하려 했으나 아직 일부 도서관의 경우 여전히 위탁운영돼 겉돌고 있다는 지적이다.
9일 시에 따르면 1998년 김포시 최초 시립도서관인 중봉도서관(북변동)이 개관하면서 권역별 도서관건립 계획에 따라 지난 20년 간 지역 내 통진과 양촌, 고촌도서관 등 4개 도서관과 구래동 등 4개 지역에작은 도서관 등 모두 8곳의 시립도서관이 개관했다.
지난달 준공을 마치고 내년 1월 개관이 예정된 장기도서관까지 합하면 김포시립도서관은 작은 도서관을 합해 총 9곳에 이른다.
이에 따라 시는 정부의 공공도서관 정책방향에 맞춰 지난 8월 도서정책 전문화와 다양화를 위해 행정조직개편을 통해 평생학습센터 내 '도서관과'를 사업소로 분리해 공공도서정책 추진에 힘을 실어줬다.
하지만 통진도서관은 시립도서관이면서도 사업소의 관리를 받지 않고 있어 시의 도서관 정책 연계와의 효율성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현재 통진도서관은 위탁운영에 따라 직원 인사와 예산편성은 물론, 운영 프로그램까지 시설관리공단이 맡고 있다.
이때문에 지난달 8일 열린 시립도서관 운영위원회에서도 공공도서관의 효율적 운영과 공공성·공익성 강화를 위해 통진 도서관 직영 문제가 거론되기까지 했다.
통진도서관은 문화소외 지역인 월곶과 하성, 대곶, 통진 등 김포지역 북부권 주민들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시·도비 등 80억여 원을 들어 2009년 김포시의 두 번째 시립도서관으로 개관했다.
그러나 IMF 외환위기에 따른 당시 정부의 작은 정부 지향방침에 따라 사서직 공무원 정원을 승인하지 않아 김포시설관리공단이 위탁을 맡아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여기에 통진도서관이 정부의 사업비 지원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는 직영을 권고한 공공도서관에 해당 돼 더이상 직영을 늦춰서는 안 된다는 우려의 목소리까지 더해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015년 11월 공공도서관 위탁운영에 반대 입장을 전달하고 위탁운영 지자체에 사업비 국·도비 보조율 하향지원을 들어 공공도서관의 직영 운영을 권고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보조금 등 사업예산 확보와 정책일원화를 위해 전국적으로 위탁 공공도서관의 직영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며 "늦었지만 이 같은 추세와 도서 정책 일원화, 관리 문제 등을 놓고 통진도서관의 직영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 권용국기자 ykkwun@incheonilbo.com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7600 | [대전] 대전 중구, 6개 작은도서관서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 매체 :뉴스 | 보도일 :2025.07.23 |
7599 | [제주] 새마을문고중앙회제주시지부 '숲속의 새마을작은도서관' 개설식 개최 | 매체 :삼다일보 | 보도일 :2025.07.21 |
7598 | [충북] 옥천 안남배바우작은도서관, 개관 18주년 행사 진행 | 매체 :브레이크뉴스 | 보도일 :2025.07.19 |
7597 | [경기] 동두천시 남산모루 작은도서관, 여름방학 특별 독서프로그램 운영 | 매체 :경인매일 | 보도일 :2025.07.17 |
7596 | [울산] 경상일보 발간 ‘경상만리’ 지역 공공·작은도서관에 전달 | 매체 :경상일보 | 보도일 :2025.07.16 |
7595 | [서울] 강동구 상상마루 작은도서관, 버려질 컴퓨터 돌아오다 | 매체 :핀포인트뉴스 | 보도일 :2025.07.09 |
7594 | [경기] 화성시립봉담커피앤북작은도서관-화담중, 독서문화 활성화 나선다 | 매체 :NSP통신 | 보도일 :2025.07.09 |
7593 | [제주] 노형꿈틀작은도서관 여름 책축제 '펠롱펠롱 책놀이팟' 12일 개최 | 매체 :뉴스1 | 보도일 :2025.07.09 |
7592 | [대구] 북구립도서관, 10개 작은도서관과 업무협약… “함께 만드는 지역 독서문화” | 매체 :브레이크뉴스 | 보도일 :2025.07.08 |
7591 | [경기] 안성시 미양작은도서관 ‘여름아 놀장(場)’ 열기 속 성료 | 매체 :시민일보 | 보도일 :2025.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