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부산]장난감 등 물품 나눠 쓰고, 동네 사랑방 역할까지 톡톡
매체명 : 동아일보
보도일 : 2018.12.20
장난감 등 물품 나눠 쓰고, 동네 사랑방 역할까지 톡톡
[작은 도서관이 세상을 바꾼다]<4>부산 영주동 글마루작은도서관
“검정 블라우스 너무 예뻐서 가져갑니다.” “핫팩 주머니, 잘 쓸게요.” “예쁜 양말 잘 신을게요! 멋진 책갈피도요!”
14일 찾은 부산 중구 동영로(영주동)의 글마루작은도서관 2층 한편에는 공룡인형, 장갑, 마법천자문 카드, 장식용 병 등이 곱게 놓여 있었다. 위쪽에는 물건을 가져간 주민들이 고마운 마음을 글로 써서 남긴 포스트잇이 빼곡하게 붙어 있었다. 이 도서관이 운영하는 물품 공유 서비스 ‘함께해 존(zone)’이다. 팔찌, 손수건, 딱풀, 티셔츠, 치마를 비롯해 주민들이 쓰지 않는 작은 물건들이 이곳에서 새 주인을 찾는다.
부산민주공원 아래, 터널이 지나가는 언덕에 위치한 이 도서관은 KB국민은행과 사단법인 작은도서관만드는사람들의 도움으로 개관한 부산 중구의 1호 구립도서관이다. 마을은 6·25전쟁 당시 몰려든 피란민이 산복도로를 중심으로 집을 짓고 살면서 생겨났다. 지금은 젊은 신혼부부와 노인층이 많이 산다. 공중화장실 터였던 곳에 2010년 12월 문을 연 이 도서관은 마을의 사랑방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었다.
“주민 모임도 여기서 많이 해요. 더 큰 도서관도 있지만 가깝고 친숙하니까 여기로 오지요.”
도서관이 생기기 전부터 이 동네에 살았다는 박명화 씨(61)가 중국어 책을 보다가 말했다. 도서관은 학부모들을 비롯해 모일 곳이 마땅치 않은 주민들에게 장소를 무료로 빌려준다. 물품뿐 아니라 장소도 공유하는 셈이다. 도서관의 책 읽기 모임에서 활동해 온 주민 김경애 씨(50)는 “도서관은 주민들이 편하게 들를 수 있는 또 하나의 집”이라고 말했다.
가을이면 ‘글마루 가을 잔치’가 열린다. 책이나 의류 바자회, 음악 공연, 시 낭송 같은 프로그램이 진행되는데 주민 100여 명이 모이기도 한다. 방학 때는 초등학생들이 도서관에서 하룻밤을 지내는 캠프를 연다. 초등생 독서 지도 프로그램은 5년 넘게 사랑받고 있다. 공예와 예술 교육 프로그램은 주부에게 특히 인기다. 주민 전현옥 씨(44)는 “어릴 때부터 함께 도서관을 다니던 아들이 이제 고교생이 된다”며 “자연스럽게 자원봉사도 하게 돼 해마다 환경, 인권, 평화 같은 주제를 정해 아이들과 함께 책을 읽었다”고 말했다.
이날도 인근 유치원생들이 도서관에 모여 동화구연 선생님이 들려주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있었다. 사서 김은지 씨(30)는 “누구나 편하고 자유롭게 문을 열고 들어오는 도서관을 만들기 위해 주민들과 열심히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다.
/ 부산=조종엽 기자 jjj@donga.com
[작은 도서관이 세상을 바꾼다]<4>부산 영주동 글마루작은도서관
“검정 블라우스 너무 예뻐서 가져갑니다.” “핫팩 주머니, 잘 쓸게요.” “예쁜 양말 잘 신을게요! 멋진 책갈피도요!”
14일 찾은 부산 중구 동영로(영주동)의 글마루작은도서관 2층 한편에는 공룡인형, 장갑, 마법천자문 카드, 장식용 병 등이 곱게 놓여 있었다. 위쪽에는 물건을 가져간 주민들이 고마운 마음을 글로 써서 남긴 포스트잇이 빼곡하게 붙어 있었다. 이 도서관이 운영하는 물품 공유 서비스 ‘함께해 존(zone)’이다. 팔찌, 손수건, 딱풀, 티셔츠, 치마를 비롯해 주민들이 쓰지 않는 작은 물건들이 이곳에서 새 주인을 찾는다.
부산민주공원 아래, 터널이 지나가는 언덕에 위치한 이 도서관은 KB국민은행과 사단법인 작은도서관만드는사람들의 도움으로 개관한 부산 중구의 1호 구립도서관이다. 마을은 6·25전쟁 당시 몰려든 피란민이 산복도로를 중심으로 집을 짓고 살면서 생겨났다. 지금은 젊은 신혼부부와 노인층이 많이 산다. 공중화장실 터였던 곳에 2010년 12월 문을 연 이 도서관은 마을의 사랑방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었다.
“주민 모임도 여기서 많이 해요. 더 큰 도서관도 있지만 가깝고 친숙하니까 여기로 오지요.”
도서관이 생기기 전부터 이 동네에 살았다는 박명화 씨(61)가 중국어 책을 보다가 말했다. 도서관은 학부모들을 비롯해 모일 곳이 마땅치 않은 주민들에게 장소를 무료로 빌려준다. 물품뿐 아니라 장소도 공유하는 셈이다. 도서관의 책 읽기 모임에서 활동해 온 주민 김경애 씨(50)는 “도서관은 주민들이 편하게 들를 수 있는 또 하나의 집”이라고 말했다.
가을이면 ‘글마루 가을 잔치’가 열린다. 책이나 의류 바자회, 음악 공연, 시 낭송 같은 프로그램이 진행되는데 주민 100여 명이 모이기도 한다. 방학 때는 초등학생들이 도서관에서 하룻밤을 지내는 캠프를 연다. 초등생 독서 지도 프로그램은 5년 넘게 사랑받고 있다. 공예와 예술 교육 프로그램은 주부에게 특히 인기다. 주민 전현옥 씨(44)는 “어릴 때부터 함께 도서관을 다니던 아들이 이제 고교생이 된다”며 “자연스럽게 자원봉사도 하게 돼 해마다 환경, 인권, 평화 같은 주제를 정해 아이들과 함께 책을 읽었다”고 말했다.
이날도 인근 유치원생들이 도서관에 모여 동화구연 선생님이 들려주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있었다. 사서 김은지 씨(30)는 “누구나 편하고 자유롭게 문을 열고 들어오는 도서관을 만들기 위해 주민들과 열심히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다.
/ 부산=조종엽 기자 jjj@donga.com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2655 | [서울]도서관 접근성 꼴찌 용산구, 6년 지나도 신축 ‘0’ | 매체 :한국일보 | 보도일 :2017.11.03 |
2654 | [대전]청양 운곡면 작은 도서관 이전 주민 접근성 높여 | 매체 :대전일보 | 보도일 :2017.11.02 |
2653 | [전북][작은도서관에 날개를]아이들이 집에 가자는 소리를 안해요 | 매체 :동아일보 | 보도일 :2017.11.02 |
2652 | [대구]우리마을 사랑방, 대구시 작은도서관이 한 자리에! | 매체 :피디언 | 보도일 :2017.11.01 |
2651 | [충남]중앙동 주민자치위원회, 작은도서관에 행복나눔 도서기증 | 매체 :세계타임즈 | 보도일 :2017.10.31 |
2650 | [전북]광산, 비아까망이 작은도서관 '최우수상' 수상 | 매체 :서울일보 | 보도일 :2017.10.31 |
2649 | [경기]동두천시립도서관, 공공도서관-작은도서관 상호협력망 구축 | 매체 :피디언 | 보도일 :2017.10.31 |
2648 | [전북]노송작은도서관, 이용자 위해 도서 확충 | 매체 :피디언 | 보도일 :2017.10.31 |
2647 | [기고]엘리트 예술시대는 지났다, 골목을 춤추게 하라 | 매체 :리셋코리아 | 보도일 :2017.10.30 |
2646 | [제주]제주도 도서관 운영 ‘문화체육관광 장관상’ | 매체 :제주도민일보 | 보도일 :2017.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