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서울]이정수 서울도서관장, "공공도서관, 고령자 삶의 질 책임져야"
매체명 : 파이낸셜뉴스
보도일 : 2019.01.22
이정수 서울도서관장, "공공도서관, 고령자 삶의 질 책임져야"
"공공도서관 정책의 전환이 시민의 삶을 바꿀 것입니다"
서울시 대표도서관인 서울도서관을 관장하는 이정수 관장(사진)은 22일 올해 '지식문화도시, 서울' 2차 계획을 본격 추진한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서울시는 지난 해 지식문화도시, 서울을 위한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 관장은 "계획을 제대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서울시민의 도서관과 독서에 관한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서울시가 '실태조사 3종 세트'인 서울시민의 도서관 이용실태 조사, 서울시민 독서문화 실태조사, 장노년층 공공도서관 이용조사를 진행한 것은 이같은 배경이다.
이 관장은 "이번 조사결과에서 20대와 60대 이상의 도서관 이용 특징을 잘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20대는 타 연령층에 비해 도서관을 가장 많이 알고 이용경험도 많았다. 도서관에 머무는 시간도 42.5%가 세 시간 이상이며 정보요구도 62.3%로 가장 높으나 도서관을 꾸준히 이용하는 비율은 41.8%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 서비스가 20대의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라는게 이 관장의 설명이다.
이에 반해 60대 이상 고령자는 타 연령층에 비해 대부분 조사항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낮았으나 공공도서관 주이용은 67.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평생교육에 대한 욕구도 가장 높았다.
이 관장은 "고령자들은 공공도서관을 잘 알지 못하지만 은퇴 이후에 공공도서관을 찾고 있다"며, "증가하는 60대 이상의 삶의 문제해결의 장, 사회적 안전망으로서 공공도서관의 주도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그는 점차 고령사회로 접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공공도서관 현장도 고령자들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점에서 고민이 깊다고 말했다. 장노년층의 도서관 이용 특징을 대략적으로 파악했으나, 좀 더 면밀한 조사가 필요했다는 설명이다.
이 관장은 "올해 책을 한권 이상 읽은 장노년층은 59.6%, 50대 73.3%, 60대 81.5%로 평균 이상이며 70대 이후 독서율은 급격히 낮았다"며 "이는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독서장애 요인으로 '눈이 안보여서'가 많아지는 것과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결론적으로 공공도서관을 잘 알고 있는 20대는 도서관이 그들의 이용요구를 반영하지 못해 꾸준히 이용하지 않고, 반대로 도서관을 잘 알지 못하는 고령자층은 공공도서관을 꾸준히 찾고 있다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 관장은 "이번 조사결과는 지금까지 공공도서관 이용이 아이와 부모세대에 편중되어있다는 통념을 일깨운 것"이라며 "앞으로는 사회적 환경, 개인욕구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 등을 제공해 시민 모두가 도서관을 활용하고 궁극적으로 내 삶을 바꾸는 '지식문화도시, 서울'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 ahnman@fnnews.com 안승현 기자
"공공도서관 정책의 전환이 시민의 삶을 바꿀 것입니다"
서울시 대표도서관인 서울도서관을 관장하는 이정수 관장(사진)은 22일 올해 '지식문화도시, 서울' 2차 계획을 본격 추진한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서울시는 지난 해 지식문화도시, 서울을 위한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 관장은 "계획을 제대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서울시민의 도서관과 독서에 관한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서울시가 '실태조사 3종 세트'인 서울시민의 도서관 이용실태 조사, 서울시민 독서문화 실태조사, 장노년층 공공도서관 이용조사를 진행한 것은 이같은 배경이다.
이 관장은 "이번 조사결과에서 20대와 60대 이상의 도서관 이용 특징을 잘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20대는 타 연령층에 비해 도서관을 가장 많이 알고 이용경험도 많았다. 도서관에 머무는 시간도 42.5%가 세 시간 이상이며 정보요구도 62.3%로 가장 높으나 도서관을 꾸준히 이용하는 비율은 41.8%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 서비스가 20대의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라는게 이 관장의 설명이다.
이에 반해 60대 이상 고령자는 타 연령층에 비해 대부분 조사항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낮았으나 공공도서관 주이용은 67.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평생교육에 대한 욕구도 가장 높았다.
이 관장은 "고령자들은 공공도서관을 잘 알지 못하지만 은퇴 이후에 공공도서관을 찾고 있다"며, "증가하는 60대 이상의 삶의 문제해결의 장, 사회적 안전망으로서 공공도서관의 주도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그는 점차 고령사회로 접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공공도서관 현장도 고령자들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점에서 고민이 깊다고 말했다. 장노년층의 도서관 이용 특징을 대략적으로 파악했으나, 좀 더 면밀한 조사가 필요했다는 설명이다.
이 관장은 "올해 책을 한권 이상 읽은 장노년층은 59.6%, 50대 73.3%, 60대 81.5%로 평균 이상이며 70대 이후 독서율은 급격히 낮았다"며 "이는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독서장애 요인으로 '눈이 안보여서'가 많아지는 것과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결론적으로 공공도서관을 잘 알고 있는 20대는 도서관이 그들의 이용요구를 반영하지 못해 꾸준히 이용하지 않고, 반대로 도서관을 잘 알지 못하는 고령자층은 공공도서관을 꾸준히 찾고 있다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 관장은 "이번 조사결과는 지금까지 공공도서관 이용이 아이와 부모세대에 편중되어있다는 통념을 일깨운 것"이라며 "앞으로는 사회적 환경, 개인욕구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 등을 제공해 시민 모두가 도서관을 활용하고 궁극적으로 내 삶을 바꾸는 '지식문화도시, 서울'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 ahnman@fnnews.com 안승현 기자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1473 | [광주] 벽화·마을지·두레텃밭 통해 살고 싶은 동네 ‘우뚝’ - 달뫼마을작은도서관 | 매체 :광주매일신문 | 보도일 :2016.02.10 |
1472 | [서울] '쉿! 조용히' 없는 도서관과 이별중입니다 - 함께크는우리 작은도서관 | 매체 :오마이뉴스 | 보도일 :2016.02.10 |
1471 | [부산] "부산에 사진전문도서관 생겼네" | 매체 :부산일보 | 보도일 :2016.02.10 |
1470 | [경기]양주 장흥작은도서관, 독서습관 형성 프로그램 운영 | 매체 :경기도민일보 | 보도일 :2016.02.06 |
1469 | [강원] 춘천 작은도서관 10곳 사서 배치 (=인력 감축 계획 백지화) | 매체 :강원도민일보 | 보도일 :2016.02.05 |
1468 | [서울] 작은도서관과 버킷리스트 - 노원구 한울 작은도서관 | 매체 :중부매일 | 보도일 :2016.02.03 |
1467 | [서울] 종로구, 작은도서관에 기부 코너 마련_티브로드서울 | 매체 :티브로드 | 보도일 :2016.02.02 |
1466 | [서울] 책의 행복한 순환이 시작된다. - 종로구 삼봉서랑 | 매체 :위키트리 | 보도일 :2016.02.02 |
1465 | [경기] 회원증 하나로 경기도 216개 도서관 자유 이용 | 매체 :연합뉴스 | 보도일 :2016.02.01 |
1464 | [경북] 포항 작은도서관 ‘있으나마나’ 38곳 중 17곳 하루 4~5시간만 문열어 | 매체 :경북도민일보 | 보도일 :2016.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