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인천]원도심 ‘빈교실’ 재탄생… 병설유치원·작은도서관 ‘청사진’
매체명 : 경기일보
보도일 : 2019.01.29
원도심 ‘빈교실’ 재탄생… 병설유치원·작은도서관 ‘청사진’
인천시교육청이 지속적으로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원도심 초·중·고교의 빈 교실 전수조사에 나선다.
29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학교설립기획과와 민주시민교육과를 중심으로 2월 중 초·중·고교 과소 학급 조사 테스크포스(TF)를 구성(2개 팀, 10~12명), 3월 신학기부터 지역 초·중·고교 430여 곳에 대한 빈 교실 전수조사에 돌입한다.
학급 조사TF는 원도심 공동화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로 늘어난 빈 교실 수를 파악, 활용 방안을 찾기 위해 구성됐다.
시교육청은 2018년 과밀 학급 해소 전수조사 시 관심·주의·과다·심각 등 4개 단계로 조사했던 방식을 참고해 새로운 방식의 과소 학교 전수조사 계획을 수립한다.
오는 연말까지 전수조사를 마무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빈 교실을 활용한 원도심 활성화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게 시교육청의 구상이다.
빈 교실 활용대책으로는 최근 사립유치원비리 파동으로 교육부가 전국적으로 공립유치원을 확대하겠는 방안에 발맞춰 병설유치원을 신설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또 작은 도서관, 노인복지시설, 체육시설 등 주민 커뮤니티시설을 설치하는 등 학교를 중심으로 한 마을단위 공동체를 만드는 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다.
이에 시교육청은 빈 교실 파악 전수조사가 마무리되면 각 부서의 의견을 수렴한 뒤 전문가 등이 포함된 빈 교실 활성화TF를 구성하겠다는 방침도 세웠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 학령인구가 주는 원도심 학교의 빈 교실을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전수조사에 나서기로 했다”며 “신도시의 과밀학급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원도심을 활성화할 수 있는 시교육청 차원의 대책을 마련하는 데 행정력을 집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는 지난해 과밀 학급 해소를 위한 전수조사에서 과밀학급이 우려되는 지역 초등학교 37곳, 중학교 23곳, 고등학교 12곳 등 총 72곳은 제외됐다. 이들 과밀 우려 대상학교는 오는 2022년까지 319억 원을 투입해 과밀학급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게 시교육청의 계획이다.
/ 주영민 기자
인천시교육청이 지속적으로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원도심 초·중·고교의 빈 교실 전수조사에 나선다.
29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학교설립기획과와 민주시민교육과를 중심으로 2월 중 초·중·고교 과소 학급 조사 테스크포스(TF)를 구성(2개 팀, 10~12명), 3월 신학기부터 지역 초·중·고교 430여 곳에 대한 빈 교실 전수조사에 돌입한다.
학급 조사TF는 원도심 공동화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로 늘어난 빈 교실 수를 파악, 활용 방안을 찾기 위해 구성됐다.
시교육청은 2018년 과밀 학급 해소 전수조사 시 관심·주의·과다·심각 등 4개 단계로 조사했던 방식을 참고해 새로운 방식의 과소 학교 전수조사 계획을 수립한다.
오는 연말까지 전수조사를 마무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빈 교실을 활용한 원도심 활성화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게 시교육청의 구상이다.
빈 교실 활용대책으로는 최근 사립유치원비리 파동으로 교육부가 전국적으로 공립유치원을 확대하겠는 방안에 발맞춰 병설유치원을 신설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또 작은 도서관, 노인복지시설, 체육시설 등 주민 커뮤니티시설을 설치하는 등 학교를 중심으로 한 마을단위 공동체를 만드는 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다.
이에 시교육청은 빈 교실 파악 전수조사가 마무리되면 각 부서의 의견을 수렴한 뒤 전문가 등이 포함된 빈 교실 활성화TF를 구성하겠다는 방침도 세웠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 학령인구가 주는 원도심 학교의 빈 교실을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전수조사에 나서기로 했다”며 “신도시의 과밀학급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원도심을 활성화할 수 있는 시교육청 차원의 대책을 마련하는 데 행정력을 집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는 지난해 과밀 학급 해소를 위한 전수조사에서 과밀학급이 우려되는 지역 초등학교 37곳, 중학교 23곳, 고등학교 12곳 등 총 72곳은 제외됐다. 이들 과밀 우려 대상학교는 오는 2022년까지 319억 원을 투입해 과밀학급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게 시교육청의 계획이다.
/ 주영민 기자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4275 | [경기]“2020 작은 도서관 활성화”… 사업컨설팅 성료 | 매체 :중부일보 | 보도일 :2020.02.04 |
4274 | [서울]같이의 가치, 우리 함께 책 읽어요! | 매체 :아시아경제 | 보도일 :2020.02.04 |
4273 | [전남]무안군, 작은도서관 독서도우미 발대식 개최 | 매체 :중도일보 | 보도일 :2020.02.04 |
4272 | [서울]'코로나 쇼크'로 도서관도 닫나…서울시, 문화시설 중단 검토 | 매체 :뉴스1 | 보도일 :2020.02.04 |
4271 | [전남]목포시, 작은 도서관 기능 축소 ‘논란’ | 매체 :광주일보 | 보도일 :2020.02.03 |
4270 | [전북]군산시 도서관, 지역 문화트렌드 주도한다 | 매체 :신아일보 | 보도일 :2020.02.03 |
4269 | [인천]인천시-군구 '상생협력 특화사업'… 23억 들여 195개 일자리 창출 | 매체 :경인일보 | 보도일 :2020.02.03 |
4268 | [경기]화성시립도서관, 관내 지역서점 운영자 간담회 개최 | 매체 :한국강사신문 | 보도일 :2020.02.02 |
4267 | [경남]제1차 ‘2020 창원의 책’ 선정위원회 개최 | 매체 :경남도민신문 | 보도일 :2020.02.02 |
4266 | [서울]영등포구, 우한폐렴 확산 우려에 다중이용시설 운영 전격 중단 | 매체 :시민일보 | 보도일 :2020.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