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전국]국유지에도 생활체육시설·작은도서관 들어선다
매체명 : 머니투데이
보도일 : 2019.09.04
그동안 자유로운 이용이 제한됐던 국유지에도 공공도서관, 생활체육시설, 어린이집 등 국민들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반시설이 자유롭게 들어설 전망이다. 기획재정부는 국유지를 활용한 생활밀착형 사회기반시설(생활SOC) 확충 지원을 위해 '국유재산법' 개정안을 이달 5일부터 다음달 15일까지 입법예고한다고 4일 밝혔다. 생활SOC는 공공도서관, 생활체육시설, 어린이집, 유치원, 방과 후 돌봄센터처럼 국민들이 자녀를 키우고, 일하고 쉬는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반시설이다. 그동안 지방자치단체가 놀고 있는 국유지를 활용해 생활SOC 시설을 설치하고 싶어도 현행법에 걸렸다. 국유재산법에 따르면 국유지에 국가 이외의 자의 영구시설물 설치를 금지하고 있다. 또 사용료 감면 조항이 없으며, 전대금지로 산하 공기업에게 관리를 위탁할 수도 없다. 개정안은 국유지에 생활SOC 축조를 허용한다. 지방자치단체나 지방공기업이 생활SOC 설치를 목적으로 사용허가 또는 대부받는 경우에는 국유지에 영구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동안 청·관사 등 행정재산을 기부하는 경우에는 기부자에게 기부재산가액의 범위 안에서 사용료를 면제할 수 있었으나, 지자체가 생활SOC의 운영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국가에 해당 시설을 기부하고 무상으로 사용하려 해도 이를 위한 법적 근거가 명확하지 않았다. 개정안은 지자체가 무상사용을 조건으로 생활SOC 시설을 국가에 기부하는 것을 허용하고, 사용료 면제가 가능한 재산으로 추가한다. 지자체 등이 사용허가를 받은 생활SOC의 전대도 허용된다. 현행 국유재산법은 국유재산을 사용허가 또는 대부받은 경우 그 재산을 다른 사람에게 사용·수익하도록 하는 것(전대)을 금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자체 등이 생활SOC의 관리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해 산하 공공기관 등을 통해 운영하기가 어려웠다. 개정안은 지자체 등이 산하 공공기관에 전대를 허용토록 한다. 기재부는 입법예고 기간 동안 국민과 관계기관의 의견을 듣고, 법제처 심사 등의 절차를 거쳐 동 개정안을 국무회의 의결 후 다음달 중 국회에 제출한다. 국회에 제출된 법률안이 심의절차를 거쳐, 개정이 완료되는 즉시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을 추진한다.
/최우영 기자
/최우영 기자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5660 | [제주] 제주공공도서관협의회, 가파도·추자도 어린이 위해 도서 500권 기증 | 매체 :뉴스1 | 보도일 :2021.12.21 |
5659 | [부산] H부울본부, 범천 작은도서관 개관 | 매체 :국제신문 | 보도일 :2021.12.21 |
5658 | 서울시복지재단, 아동센터에 20번째 작은도서관 열어 | 매체 :파이낸셜뉴스 | 보도일 :2021.12.21 |
5657 | [서울] 소리 지르고 뛰어도 괜찮은 도서관이 구로에 있다 | 매체 :서울신문 | 보도일 :2021.12.21 |
5656 | [강원] 춘천시, 평생학습관·시립공공도서관 '방역패스'시행 | 매체 :위클리오늘 | 보도일 :2021.12.21 |
5655 | [서울] 서울시, 도서관 발전기여 유공자 20명에 시장표창 | 매체 :헤럴드경제 | 보도일 :2021.12.20 |
5654 | [경기] 주택금융공사 경기북부지사, 사랑의열매에 600만원 기탁…작은도서관 지원 | 매체 :이데일리 | 보도일 :2021.12.20 |
5653 | [서울] 금천구 맑은누리 작은도서관 ‘탐방 맛집’ 된 까닭? | 매체 :아시아경제 | 보도일 :2021.12.19 |
5652 | [경북] 지역 인구 증가 위한 문경 나눔작은도서관의 선행 눈길 | 매체 :매일신문 | 보도일 :2021.12.19 |
5651 | [제주] 하귀1리 작은도서관, 마을공동체 활성화 사업 최우수 | 매체 :제주매일 | 보도일 :2021.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