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경기]김포시 공공도서관, 코로나19 장기화 대비 단계적 운영
매체명 : 일요서울
보도일 : 2020.05.06
김포시(시장 정하영)는 코로나19의 확산으로 공공도서관 휴관이 장기화 되면서 시민들의 도서관 운영 문의 및 이용 불편 민원이 잇따르자 관내 공공도서관을 단계적으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김포시는 지난 2월 23일 코로나19 위기경보가 최고단계인 심각단계로 격상되고 관내 확진환자가 4명까지 늘어남에 따라 2월 22일부터 09:00부터 17:00까지 대출·반납으로만 제한한 축소운영 이틀 만인 2월 24일 6개 공공도서관과 4개의 공립 작은도서관 이용을 모두 폐쇄하고 전면 휴관에 들어갔다.
전국적으로 코로나19 확진환자가 하루 수백 명씩 폭발적으로 늘어나던 축소운영기간 중에도 6개 공공도서관 대출이용자는 2,000여 명에 이른 것으로 확인됐다.
각 도서관별 대출이용자 수는 장기(721명) > 풍무(475명) > 중봉(236명) > 양곡(199명) > 고촌(173명) > 통진(147명) 순으로 많았다.
한편 휴관 지속에 따른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3월 23일부터 홈페이지 사전예약을 통한 드라이브 스루 서비스를 통해 4,000여 명이 15,000여 권의 도서를 이용했다.
시립도서관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휴관기간 중 훼손도서 보수, 장서점검, 장서구입 등 서가정리 외에도 새 구입 도서가 이용자에게 제공되기까지의 과정(‘언박싱’ 장기도서관)과 양현진 작가 초청 ‘아빠 육아 톡톡 콘서트’(양곡도서관)를 페이스북 라이브 방송으로 진행하기도 했다.
특히 휴관기간 중 전염병 예방을 위해 월 1회 정기소독 외에도 각 도서관마다 4회에 걸쳐 자체 방역소독을 실시하고, 코로나19 종료 시까지 장기화에 대비한 안전 운영을 위한 매뉴얼을 정비하고 열화상 카메라도 구입 중이다.
소영만 시립도서관장은 “코로나19로 인한 도서관 이용 민원은 총선과 특히 지난 4월 19일 다소 완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발표 이후 점점 증가하고 있어 도서관 이용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는 크지만 코로나19가 완전히 종식되기까지 장기화에 대비해 안전을 고려한 운영 매뉴얼 정비 등 도서관 이용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차분히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소영만 시립도서관장은 “이번 주 중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하고 중앙정부 방침 및 시 재난안전대책본부 지침, 코로나 전개 양상 등에 따라 5월 11일부터는 대출·반납에 한해 제한적으로 운영을 시작해 점진적, 단계적으로 서비스를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강동기 기자
김포시는 지난 2월 23일 코로나19 위기경보가 최고단계인 심각단계로 격상되고 관내 확진환자가 4명까지 늘어남에 따라 2월 22일부터 09:00부터 17:00까지 대출·반납으로만 제한한 축소운영 이틀 만인 2월 24일 6개 공공도서관과 4개의 공립 작은도서관 이용을 모두 폐쇄하고 전면 휴관에 들어갔다.
전국적으로 코로나19 확진환자가 하루 수백 명씩 폭발적으로 늘어나던 축소운영기간 중에도 6개 공공도서관 대출이용자는 2,000여 명에 이른 것으로 확인됐다.
각 도서관별 대출이용자 수는 장기(721명) > 풍무(475명) > 중봉(236명) > 양곡(199명) > 고촌(173명) > 통진(147명) 순으로 많았다.
한편 휴관 지속에 따른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3월 23일부터 홈페이지 사전예약을 통한 드라이브 스루 서비스를 통해 4,000여 명이 15,000여 권의 도서를 이용했다.
시립도서관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휴관기간 중 훼손도서 보수, 장서점검, 장서구입 등 서가정리 외에도 새 구입 도서가 이용자에게 제공되기까지의 과정(‘언박싱’ 장기도서관)과 양현진 작가 초청 ‘아빠 육아 톡톡 콘서트’(양곡도서관)를 페이스북 라이브 방송으로 진행하기도 했다.
특히 휴관기간 중 전염병 예방을 위해 월 1회 정기소독 외에도 각 도서관마다 4회에 걸쳐 자체 방역소독을 실시하고, 코로나19 종료 시까지 장기화에 대비한 안전 운영을 위한 매뉴얼을 정비하고 열화상 카메라도 구입 중이다.
소영만 시립도서관장은 “코로나19로 인한 도서관 이용 민원은 총선과 특히 지난 4월 19일 다소 완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발표 이후 점점 증가하고 있어 도서관 이용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는 크지만 코로나19가 완전히 종식되기까지 장기화에 대비해 안전을 고려한 운영 매뉴얼 정비 등 도서관 이용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차분히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소영만 시립도서관장은 “이번 주 중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하고 중앙정부 방침 및 시 재난안전대책본부 지침, 코로나 전개 양상 등에 따라 5월 11일부터는 대출·반납에 한해 제한적으로 운영을 시작해 점진적, 단계적으로 서비스를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강동기 기자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1230 | [서울] 서울 송파구, '북캉스' 프로그램 눈길 | 매체 :시민일보 | 보도일 :2015.08.04 |
1229 | [전국] ‘작은도서관’의 역할과 과제 - 박상신 인천시 문화예술과장 | 매체 :경인일보 | 보도일 :2015.08.03 |
1228 | [경북] 포항 선바위작은도서관, 산촌마을할머니 대상 한글교실 | 매체 :경상매일신문 | 보도일 :2015.08.03 |
1227 | [전국] “전국 피서지에서 동네책방 만나요” | 매체 :한겨레신문 | 보도일 :2015.08.03 |
1226 | [대구] “도서관서 휴가 즐겨요” 칠곡 새마을문고 운영 - 지역내 작은도서관 회원들 주축으로 | 매체 :대구일보 | 보도일 :2015.08.03 |
1225 | [인천] 인천 부평구, 전국 최초 '도서관 정보화 시스템' 구축 - 작은도서관도 원스톱으로 연결 | 매체 :인천일보 | 보도일 :2015.08.03 |
1224 | [광주] 광주 서구 치평동 '보나담 금호대우 작은도서관' | 매체 :무등일보 | 보도일 :2015.08.03 |
1223 | [서울] "우리가 만든 빵 맛보실래요" - 송파구 다우리 작은도서관 | 매체 :한국일보 | 보도일 :2015.08.02 |
1222 | [친근한 도서관 만들기에 힘쓰는 자치구] 마포 도서관은 우리 동네 사랑방 | 매체 :서울신문 자정고 | 보도일 :2015.07.31 |
1221 | [경기] 의왕시 작은도서관, 여름방학 독서 프로그램 운영 | 매체 :독서신문i | 보도일 :2015.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