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도서관의 진짜 싸움은 지금부터다
매체명 : 독서신문i
보도일 : 2013.07.15
도서관의 진짜 싸움은 지금부터다
방재홍
▲ 방재홍 발행인 ©독서신문
[독서신문 방재홍 발행인] 사필귀정(事必歸正)이다. 국립세종도서관이 결국 국립중앙도서관 분관으로 직영이 확정됐다. 지난주 준공식도 가졌다. 공무원 조직과 정원을 관리하는 안전행정부가 세종도서관을 ‘법인화 한다’, ‘책임운영기관으로 한다’며 논란을 자초하다 두 달도 채 되지 않아 원래 상태로 돌아섰다.
“처음부터 ‘국립도서관을 법인화해 민간 위탁을 한다’는 발상이 잘못됐다”는 도서관계의 목소리가 높았다. 외국 사례도 드물거니와 그마저 서비스 향상이나 비용절감 효과가 미미하다는 평가였다. 그럼에도 공무원 정원 등을 거론하며 민간위탁을 추진하자 전 도서관계가 일어난 것이다. 안행부가 대안으로 제시한 ‘책임운영기관’지정 방침에는 대학교수와 학생들마저 가세해 1인 시위와 집회, 온라인 서명으로 맞섰다.
이번 논란 와중에 도서관계의 열악한 상황이 한꺼번에 드러났다. 전국 공공도서관의 상당수가 민간에 위탁 운영되면서 비정규직 사서들의 신분 불안과 저임금, 낮은 처우 문제 등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사서충원을 호소하는 도서관, 만성적인 도서구입비 부족 상황 등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도 한 두 개가 아니다.
3,800여개에 달하는 전국의 ‘작은 도서관’들은 더 심각하다. 최근 수도권의 한 도시지역은 등록만 해 놓고 제 구실을 못하는 사립 작은도서관 때문에 해당 지자체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는 언론 보도도 있었다. 이곳은 63개의 작은도서관이 있으나 지난해 경기도 평가에서 B·C등급을 받은 곳은 단 8개, 나머지는 모두 D등급 이하를 받았다.
이처럼 도서관의 위기상황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현안들이 산적해 있다.
문화융성의 근본이 책과 출판에 있다면 도서관은 그것을 담아내는 그릇과 같다. 거기에는 사람도 있고 교육도 있다. 도서관의 미래는 곧 우리의 미래다. 도서관 진흥을 위한 진짜 싸움은 지금부터다.
방재홍
▲ 방재홍 발행인 ©독서신문
[독서신문 방재홍 발행인] 사필귀정(事必歸正)이다. 국립세종도서관이 결국 국립중앙도서관 분관으로 직영이 확정됐다. 지난주 준공식도 가졌다. 공무원 조직과 정원을 관리하는 안전행정부가 세종도서관을 ‘법인화 한다’, ‘책임운영기관으로 한다’며 논란을 자초하다 두 달도 채 되지 않아 원래 상태로 돌아섰다.
“처음부터 ‘국립도서관을 법인화해 민간 위탁을 한다’는 발상이 잘못됐다”는 도서관계의 목소리가 높았다. 외국 사례도 드물거니와 그마저 서비스 향상이나 비용절감 효과가 미미하다는 평가였다. 그럼에도 공무원 정원 등을 거론하며 민간위탁을 추진하자 전 도서관계가 일어난 것이다. 안행부가 대안으로 제시한 ‘책임운영기관’지정 방침에는 대학교수와 학생들마저 가세해 1인 시위와 집회, 온라인 서명으로 맞섰다.
이번 논란 와중에 도서관계의 열악한 상황이 한꺼번에 드러났다. 전국 공공도서관의 상당수가 민간에 위탁 운영되면서 비정규직 사서들의 신분 불안과 저임금, 낮은 처우 문제 등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사서충원을 호소하는 도서관, 만성적인 도서구입비 부족 상황 등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도 한 두 개가 아니다.
3,800여개에 달하는 전국의 ‘작은 도서관’들은 더 심각하다. 최근 수도권의 한 도시지역은 등록만 해 놓고 제 구실을 못하는 사립 작은도서관 때문에 해당 지자체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는 언론 보도도 있었다. 이곳은 63개의 작은도서관이 있으나 지난해 경기도 평가에서 B·C등급을 받은 곳은 단 8개, 나머지는 모두 D등급 이하를 받았다.
이처럼 도서관의 위기상황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현안들이 산적해 있다.
문화융성의 근본이 책과 출판에 있다면 도서관은 그것을 담아내는 그릇과 같다. 거기에는 사람도 있고 교육도 있다. 도서관의 미래는 곧 우리의 미래다. 도서관 진흥을 위한 진짜 싸움은 지금부터다.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6628 | [강원] 강릉시, 강릉시립도서관 프로그램 수강생 모집 | 매체 :NSP통신 | 보도일 :2023.03.02 |
6627 | [경기] 파주 교하도서관, ‘지역강사프로그램 ’우리동네 작은도서관에서 만나요‘ 설명회 마쳐 | 매체 :브레이크뉴스 | 보도일 :2023.03.02 |
6626 | [제주] 금능꿈차롱작은도서관, 금능리 마을 소식지 '금능인' 5호 발간 | 매체 :헤드라인제주 | 보도일 :2023.03.01 |
6625 | 시흥시, 최초 공공 독서문화시설 연꽃향기작은도서관 개관 | 매체 :스카이데일리 | 보도일 :2023.02.28 |
6624 | [인천] 인천시중앙도서관,남동구 작은도서관 지원사업 설명회 성료 | 매체 :경인매일 | 보도일 :2023.02.28 |
6623 | [경기] 시흥시, '청소년과 독서' 특성화 연꽃향기작은도서관 개관 | 매체 :신아일보 | 보도일 :2023.02.28 |
6622 | [전북] 전주시민독서학교 수강생 모집 | 매체 :새전북신문 | 보도일 :2023.02.27 |
6621 | [전남] 광양희망도서관, 어린이 교육기관에 단체대출서비스 운영 | 매체 :NSP통신 | 보도일 :2023.02.27 |
6620 | [울산] 울산 북부소방서, 찾아가는 소방안전교육 실시 | 매체 :울산매일 | 보도일 :2023.02.27 |
6619 | [경북] 예천 원도심 활성화 속도 신도시 상생발전 기틀 마련 | 매체 :대경일보 | 보도일 :2023.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