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도서관의 진짜 싸움은 지금부터다
매체명 : 독서신문i
보도일 : 2013.07.15
도서관의 진짜 싸움은 지금부터다
방재홍
▲ 방재홍 발행인 ©독서신문
[독서신문 방재홍 발행인] 사필귀정(事必歸正)이다. 국립세종도서관이 결국 국립중앙도서관 분관으로 직영이 확정됐다. 지난주 준공식도 가졌다. 공무원 조직과 정원을 관리하는 안전행정부가 세종도서관을 ‘법인화 한다’, ‘책임운영기관으로 한다’며 논란을 자초하다 두 달도 채 되지 않아 원래 상태로 돌아섰다.
“처음부터 ‘국립도서관을 법인화해 민간 위탁을 한다’는 발상이 잘못됐다”는 도서관계의 목소리가 높았다. 외국 사례도 드물거니와 그마저 서비스 향상이나 비용절감 효과가 미미하다는 평가였다. 그럼에도 공무원 정원 등을 거론하며 민간위탁을 추진하자 전 도서관계가 일어난 것이다. 안행부가 대안으로 제시한 ‘책임운영기관’지정 방침에는 대학교수와 학생들마저 가세해 1인 시위와 집회, 온라인 서명으로 맞섰다.
이번 논란 와중에 도서관계의 열악한 상황이 한꺼번에 드러났다. 전국 공공도서관의 상당수가 민간에 위탁 운영되면서 비정규직 사서들의 신분 불안과 저임금, 낮은 처우 문제 등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사서충원을 호소하는 도서관, 만성적인 도서구입비 부족 상황 등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도 한 두 개가 아니다.
3,800여개에 달하는 전국의 ‘작은 도서관’들은 더 심각하다. 최근 수도권의 한 도시지역은 등록만 해 놓고 제 구실을 못하는 사립 작은도서관 때문에 해당 지자체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는 언론 보도도 있었다. 이곳은 63개의 작은도서관이 있으나 지난해 경기도 평가에서 B·C등급을 받은 곳은 단 8개, 나머지는 모두 D등급 이하를 받았다.
이처럼 도서관의 위기상황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현안들이 산적해 있다.
문화융성의 근본이 책과 출판에 있다면 도서관은 그것을 담아내는 그릇과 같다. 거기에는 사람도 있고 교육도 있다. 도서관의 미래는 곧 우리의 미래다. 도서관 진흥을 위한 진짜 싸움은 지금부터다.
방재홍
▲ 방재홍 발행인 ©독서신문
[독서신문 방재홍 발행인] 사필귀정(事必歸正)이다. 국립세종도서관이 결국 국립중앙도서관 분관으로 직영이 확정됐다. 지난주 준공식도 가졌다. 공무원 조직과 정원을 관리하는 안전행정부가 세종도서관을 ‘법인화 한다’, ‘책임운영기관으로 한다’며 논란을 자초하다 두 달도 채 되지 않아 원래 상태로 돌아섰다.
“처음부터 ‘국립도서관을 법인화해 민간 위탁을 한다’는 발상이 잘못됐다”는 도서관계의 목소리가 높았다. 외국 사례도 드물거니와 그마저 서비스 향상이나 비용절감 효과가 미미하다는 평가였다. 그럼에도 공무원 정원 등을 거론하며 민간위탁을 추진하자 전 도서관계가 일어난 것이다. 안행부가 대안으로 제시한 ‘책임운영기관’지정 방침에는 대학교수와 학생들마저 가세해 1인 시위와 집회, 온라인 서명으로 맞섰다.
이번 논란 와중에 도서관계의 열악한 상황이 한꺼번에 드러났다. 전국 공공도서관의 상당수가 민간에 위탁 운영되면서 비정규직 사서들의 신분 불안과 저임금, 낮은 처우 문제 등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사서충원을 호소하는 도서관, 만성적인 도서구입비 부족 상황 등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도 한 두 개가 아니다.
3,800여개에 달하는 전국의 ‘작은 도서관’들은 더 심각하다. 최근 수도권의 한 도시지역은 등록만 해 놓고 제 구실을 못하는 사립 작은도서관 때문에 해당 지자체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는 언론 보도도 있었다. 이곳은 63개의 작은도서관이 있으나 지난해 경기도 평가에서 B·C등급을 받은 곳은 단 8개, 나머지는 모두 D등급 이하를 받았다.
이처럼 도서관의 위기상황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현안들이 산적해 있다.
문화융성의 근본이 책과 출판에 있다면 도서관은 그것을 담아내는 그릇과 같다. 거기에는 사람도 있고 교육도 있다. 도서관의 미래는 곧 우리의 미래다. 도서관 진흥을 위한 진짜 싸움은 지금부터다.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1968 | [전국]롯데홈쇼핑, '작은도서관' 41~43호점 개관 | 매체 :뉴스토마토 | 보도일 :2016.12.01 |
1967 | [충북] 청주시, 작은도서관 통한 독서문화 인프라 확충 힘써 | 매체 :청주일보 | 보도일 :2016.11.29 |
1966 | [경기]부천 두 자녀 가구, 대출도서 확대·박물관 무료입장 | 매체 :연합뉴스 | 보도일 :2016.11.29 |
1965 | [대전]2016 유성구 꿈나무작은도서관 성과발표회 | 매체 :대전일보 | 보도일 :2016.11.29 |
1964 | [호남]목포시 산정동, 행복마을 작은도서관 개관 | 매체 :호남타이즈 | 보도일 :2016.11.28 |
1963 | [경북]구미 한신휴새마을작은도서관 23일 개관 | 매체 :아시아투데이 | 보도일 :2016.11.24 |
1962 | 혼불작은도서관 개관 8주년 기념 글짓기·독서왕 시상 | 매체 :업코리아 | 보도일 :2016.11.23 |
1961 | [전남]'책에 푹 빠진 농촌'…남원 혼불도서관, 독서왕 등 시상 | 매체 :뉴스일 | 보도일 :2016.11.23 |
1960 | [경북]구미시, 한신휴새마을작은도서관 개관 | 매체 :구미일보 | 보도일 :2016.11.23 |
1959 | [서울]우리 동네 도서관에서 ‘움직이는 책방’ 과 만나세요 | 매체 :여성종합뉴스 | 보도일 :2016.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