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뉴스
도서관의 진짜 싸움은 지금부터다
매체명 : 독서신문i
보도일 : 2013.07.15
도서관의 진짜 싸움은 지금부터다
방재홍
▲ 방재홍 발행인 ©독서신문
[독서신문 방재홍 발행인] 사필귀정(事必歸正)이다. 국립세종도서관이 결국 국립중앙도서관 분관으로 직영이 확정됐다. 지난주 준공식도 가졌다. 공무원 조직과 정원을 관리하는 안전행정부가 세종도서관을 ‘법인화 한다’, ‘책임운영기관으로 한다’며 논란을 자초하다 두 달도 채 되지 않아 원래 상태로 돌아섰다.
“처음부터 ‘국립도서관을 법인화해 민간 위탁을 한다’는 발상이 잘못됐다”는 도서관계의 목소리가 높았다. 외국 사례도 드물거니와 그마저 서비스 향상이나 비용절감 효과가 미미하다는 평가였다. 그럼에도 공무원 정원 등을 거론하며 민간위탁을 추진하자 전 도서관계가 일어난 것이다. 안행부가 대안으로 제시한 ‘책임운영기관’지정 방침에는 대학교수와 학생들마저 가세해 1인 시위와 집회, 온라인 서명으로 맞섰다.
이번 논란 와중에 도서관계의 열악한 상황이 한꺼번에 드러났다. 전국 공공도서관의 상당수가 민간에 위탁 운영되면서 비정규직 사서들의 신분 불안과 저임금, 낮은 처우 문제 등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사서충원을 호소하는 도서관, 만성적인 도서구입비 부족 상황 등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도 한 두 개가 아니다.
3,800여개에 달하는 전국의 ‘작은 도서관’들은 더 심각하다. 최근 수도권의 한 도시지역은 등록만 해 놓고 제 구실을 못하는 사립 작은도서관 때문에 해당 지자체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는 언론 보도도 있었다. 이곳은 63개의 작은도서관이 있으나 지난해 경기도 평가에서 B·C등급을 받은 곳은 단 8개, 나머지는 모두 D등급 이하를 받았다.
이처럼 도서관의 위기상황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현안들이 산적해 있다.
문화융성의 근본이 책과 출판에 있다면 도서관은 그것을 담아내는 그릇과 같다. 거기에는 사람도 있고 교육도 있다. 도서관의 미래는 곧 우리의 미래다. 도서관 진흥을 위한 진짜 싸움은 지금부터다.
방재홍
▲ 방재홍 발행인 ©독서신문
[독서신문 방재홍 발행인] 사필귀정(事必歸正)이다. 국립세종도서관이 결국 국립중앙도서관 분관으로 직영이 확정됐다. 지난주 준공식도 가졌다. 공무원 조직과 정원을 관리하는 안전행정부가 세종도서관을 ‘법인화 한다’, ‘책임운영기관으로 한다’며 논란을 자초하다 두 달도 채 되지 않아 원래 상태로 돌아섰다.
“처음부터 ‘국립도서관을 법인화해 민간 위탁을 한다’는 발상이 잘못됐다”는 도서관계의 목소리가 높았다. 외국 사례도 드물거니와 그마저 서비스 향상이나 비용절감 효과가 미미하다는 평가였다. 그럼에도 공무원 정원 등을 거론하며 민간위탁을 추진하자 전 도서관계가 일어난 것이다. 안행부가 대안으로 제시한 ‘책임운영기관’지정 방침에는 대학교수와 학생들마저 가세해 1인 시위와 집회, 온라인 서명으로 맞섰다.
이번 논란 와중에 도서관계의 열악한 상황이 한꺼번에 드러났다. 전국 공공도서관의 상당수가 민간에 위탁 운영되면서 비정규직 사서들의 신분 불안과 저임금, 낮은 처우 문제 등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사서충원을 호소하는 도서관, 만성적인 도서구입비 부족 상황 등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도 한 두 개가 아니다.
3,800여개에 달하는 전국의 ‘작은 도서관’들은 더 심각하다. 최근 수도권의 한 도시지역은 등록만 해 놓고 제 구실을 못하는 사립 작은도서관 때문에 해당 지자체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는 언론 보도도 있었다. 이곳은 63개의 작은도서관이 있으나 지난해 경기도 평가에서 B·C등급을 받은 곳은 단 8개, 나머지는 모두 D등급 이하를 받았다.
이처럼 도서관의 위기상황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현안들이 산적해 있다.
문화융성의 근본이 책과 출판에 있다면 도서관은 그것을 담아내는 그릇과 같다. 거기에는 사람도 있고 교육도 있다. 도서관의 미래는 곧 우리의 미래다. 도서관 진흥을 위한 진짜 싸움은 지금부터다.
번호 | 제목 | 매체 | 보도일 |
---|---|---|---|
1140 | [광주] 광주 서구, 23일까지 작은도서관 활성화 지원 사업 공모 | 매체 :아시아경제 | 보도일 :2015.06.18 |
1139 | [울산] 중구 복산2동 도화공원에 작은도서관 조성 | 매체 :경상일보 | 보도일 :2015.06.18 |
1138 | [서울] 금천구, 지역 교육인프라 활용한 금천예술학교 운영 | 매체 :헤럴드G | 보도일 :2015.06.18 |
1137 | [경남] "일요일에도 책 읽을 수 있어 너무 행복해요" -떡갈나무숲작은도서관 | 매체 :김해뉴스 | 보도일 :2015.06.17 |
1136 | [경남] "도서관 운영 매뉴얼을 보다 구체화해야" - 김해시 작은도서관 운영자 워크숍 개최 | 매체 :김해뉴스 | 보도일 :2015.06.17 |
1135 | [광주] 문화예술작은도서관 '흥놀이' 참가자 모집 | 매체 :무등일보 | 보도일 :2015.06.17 |
1134 | [경기] 고양경찰서 포돌이 작은도서관 조성 | 매체 :불교공뉴스 | 보도일 :2015.06.17 |
1133 | [제주] "제주에서, 제주 책 읽으며… 앎과 삶이 하나 됐죠" | 매체 :한국일보 | 보도일 :2015.06.17 |
1132 | [충북] 충주시립도서관, 6월 독서문화강좌 개최 | 매체 :아시아뉴스통신 | 보도일 :2015.06.17 |
1131 | [대구] (칼럼) 대표 도서관 | 매체 :매일신문 | 보도일 :2015.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