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도서관이야, 사랑방이야?

2016.04.29

#대한민국정책포털 정책브리핑 '다정다감'_2016.04.28_글. 정책기자단 김혜옥_http://reporter.korea.kr/newsView.do?nid=148812905&pWise=main&pWiseMain=I1


이게 도서관이야, 사랑방이야?

우리동네 숨겨진 보물, 작은 도서관을 만나다

- 부천시 도란도란 작은도서관



도서관이 책 읽는 곳이 아니고, 마을 사랑방이라고?”

지인의 소개로 마을에 있는 작은도서관을 처음 찾았을 때 작은도서관을 마을사랑방이라고 소개하는 안내문이 다소 의아했다. 도서관이라면 으레 도서관 입구에서부터 정숙이라는 안내에 따라 숨소리조차 죽이게 마련인데, 마을 사람들이 모여서 웃고, 이야기를 나누며, 소통하는 사랑방이라는 표현이 이해가 안됐다.

작은도서관 입구의 아이들 책가방
작은도서관 입구의 아이들 책가방.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 고강종합사회복지관 내에 있는 작은도서관 도란도란을 찾았을 때, 도서관 입구에 줄지어 놓여 있는 아이들 책가방이 눈에 띄었다. 그리고 작은도서관 여기저기에서 편안한 자세로 책을 읽고 있는 아이들의 모습도 보였다.

작은도서관 사서 윤정애 씨는 작은도서관 도란도란은 2002년에 어린이도서관으로 개관해서, 2008고맙습니다 작은도서관 사업에 선정, 재개관한 이후에 어린아이들부터 할머니까지 모든 지역주민이 찾는 마을 사랑방이 되었어요. 이곳은 주민들이 책도 읽지만, 책 이야기 토론과 함께 다양한 독서연계 문화활동을 하고 있는 마을사랑방입니다.”라고 말했다.

작은도서관은 규모는 작지만 알찬 규모였다.
작은도서관은 규모는 작지만 알찼다.


실제로 작은도서관 도란도란의 현황을 보니, 45평 규모에 좌석수는 50석이지만, 유아온돌방, 유치부 그림책 코너, 아동부 코너, 일반부 코너, 동아리실 등을 갖추고 있었다. 작은도서관이라 장서수는 적지만, 시립도서관과 상호대차서비스 연계로 지역주민들이 시립도서관에 직접 가지 않아도 작은도서관을 통해 많은 도서를 대출받을 수 있었다.

다양한 도서 관련 프로그램
독서 관련 다양한 프로그램.


이곳은 2014년 경기도 작은도서관 공립 부분 평가 1위 등 친절한 도서관으로 지역주민들이 도서관을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었으며, 유치부 아동프로그램/초등학생 프로그램/청소년 프로그램/일반 성인 프로그램까지 다양한 계층의 지역주민들이 활동하고 있다.

도서관 활동 후 문집 발행
도서관 활동을 엮은 문집도 발행하고 있다.


2015년 마을이야기책 ‘도란도란 고리울북 - 고리송이 고리산이야 고강동을 지켜줘’ 발간은 물론 다양한 프로그램 활동을 엮은 도란도란 작은도서관 문집’을 매년 발행하고 있다.

작은도서관에서 책을 고르고 있던 한 주부는 시립도서관은 집에서 멀어서 잘 안가게 되는데, 집 근처의 작은도서관은 시장에 가는 길에, 아이들 학교에 데려다 주고 오는 길에 수시로 이용하니 좋더라구요. 그 뿐 아니라 이곳에 없는 책은 인터넷을 이용해서 상호대차 서비스를 신청하면 원하는 날짜에 대출이 가능해서 정말 편해졌습니다.”며 활짝 웃었다.

작은도서관 도란도란 최종복 관장
작은도서관 도란도란 최종복 관장.


작은도서관 도란도란 최종복 관장은 도서관은 딱딱하고 조용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작은도서관은 주민들이 만나고, 이야기하고 소통하는 사랑방입니다. 책을 만나는 과정에서 아이들과 아빠의 관계가 좋아지기도 하는데요. 이런 모습이 마을에서 살아가는 모습이 아닐까 합니다.”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418화체육관광부는 제52회 도서관 주간을 맞이하여 세종시 세종컨벤션센터에서 전국 작은도서관 대회(부제: 지역 독서운동의 뿌리, 작은도서관)’를 개최하고 관련 유공자들을 표창했다. 이 대회는 작은도서관 운영자들의 역할을 다시한 번 인식하고 작은도서관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고 한다.

현재 작은도서관 포털사이트(홈페이지 http://www.smalllibrary.org/)에 5994개의 도서관이 등록되어 있다고 한다. 지역명 또는 도서관명으로 내가 살고 있는 동네 가까이에 위치한 작은도서관을 검색할 수 있으며, 해당 작은도서관의 운영시간, 위치 정보, 문화프로그램 등 기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우리동네 숨겨진 보석, 작은도서관을 만나다
우리동네 숨겨진 보석, 작은도서관을 만나다.


앞으로도 작은도서관이 동네도서관인 동시에 마을 공동체의 문화사랑방이자 토론의 장으로서 이웃과 소통하고 풀뿌리 민주주의를 정착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



#원문_정책브리핑 다정다감_2016.04.28_글. 정책기자단 김혜옥_http://reporter.korea.kr/newsView.do?nid=148812905&pWise=main&pWiseMain=I1

댓글 0건
작은도서관 회원 및 SNS계정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0자 / 140자
    테이블 제목
    번호 지역/도서관명 제목
    1645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부일로 356 (중동) 우리동네작은도서관 찾아가는 독서프로그램2차시 진행했습니다 [1]
    1644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선영8길 7 (성정동) 고맙습니다성정1동 작은도서관 고맙습니다. 성정1동 작은도서관의 지난이야기 4.
    1643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선영8길 7 (성정동) 고맙습니다성정1동 작은도서관 고맙습니다. 성정1동 작은도서관의 지난이야기 3. [1]
    1642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선영8길 7 (성정동) 고맙습니다성정1동 작은도서관 고맙습니다. 성정1동 작은도서관의 지난이야기 2.
    1641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심방죽로 37 (인후동2가) 인후비전작은도서관 여름방학특강 <4차 산업과 나의진로 이해> [1]
    1640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선영8길 7 (성정동) 고맙습니다성정1동 작은도서관 고맙습니다. 성정1동 작은도서관의 지난 이야기 1. [1]
    1639 전라남도 목포시 원산중앙로 87 (연산동, 연산주공3단지4단지아파트) 무지개작은도서관 별을 품다 - 천체망원경 만들기 [1]
    1638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로19길 4 (서교동) 초록리본도서관 개그우먼 김지선 아줌마와 함께 책읽기 +희망토크콘서트 (게스트 : 브랜딩/마케팅 전문가 친절한세인씨) [1]
    1637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학산길 26-3 (팔복동2가) 열린점자작은도서관 전주시, 열린점자작은도서관 : 시각장애 인식개선 위한 프로그램 진행 [1]
    1636 울산광역시 북구 염포로 521-1 (양정동) 양정작은도서관달팽이 책읽어주는 청소년봉사단1기 [1]
    1635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순환로 118-17 (다산동) 미금작은도서관 심리치료 전문가와 함께하는 심리학탐방 [1]
    1634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신사대화로 149 성남면 작은도서관 타인과의 조화를 이루기 위해 생각하며 만든 "라운드 꽃다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