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도서관 비대면 프로그램 아이디어 공모_열린숲도서관

2020.09.11


2020 작은도서관 통합홈페이지

‘작은도서관 비대면 프로그램 아이디어 공모전’ 양식


▢ 도서관명 : 열린숲도서관

공모주제 분야 : 작은도서관 비대면 독서문화프로그램 ( √ )

작은도서관 비대면 동아리 활동 ( )

작은도서관 비대면 서비스 운영 ( )


프로그램명(또는 동아리명, 서비스명)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생활환경을 사유해 보는 열린숲 강좌


주제 :

분주한 도심 숲 안에서 충전이 필요한 직장인 및 지역주민들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생활환경을 사유해보며, 지속가능한 삶을 영위하도록 환경을 생각하는 건강한 식문화·사회적 환경을 주제로 구성한 인문학 프로그램과 식생활 환경 실천 키트, 세트 제공


▢ 내용(사진첨부 필) :

안녕하세요! 열린숲도서관입니다.

열린숲 강좌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생활환경을 사유해보는 두 개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식생활키트 : 쌀강정 & 수정과>

원래는 도서관 오프라인 공간에서 이용자들과 함께하는 강좌로 기획하였으나, 최근 심각해진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온라인으로 진행하였고, 참여해주신 이용자 분에 한해서 온라인 프로그램 다음 날, 친환경식당에서 제공한 식생활키트(강정, 수정과 식재료 소분), 레시피와 식생활세트(강정, 수정과 완제품)를 제공해드렸습니다.


<이용자를 기다리고 있는 식생활키트>

참여해주신 이용자 분 중, 집에서 식생활키트로 강정을 만든 사진 나눔도 해주셨습니다.


<'도시농업과 마을부엌을 잇다' 강의>

지난 8월 25일(화) 진행된 첫 번째 프로그램은 '도시농업과 마을부엌을 잇다' 라는 주제로, <나쁜 식탁 vs. 건강한 밥상> 책을 중심으로 환경정의 먹거리정의센터 유재숙 팀장이 이야기 나눔을 해주셨습니다.


<환경정의 먹거리정의센터(전신,다음을 지키는 엄마들의 모임) 지음, 민음인, 2012>


첫 번째 프로그램을 통해 인간이 생존하기 위해서 가장 필수불가결한 요소인‘먹거리’를 주요 키워드로, 도심 환경 안에서 농업(텃밭, 상자텃밭 등 로컬푸드) 생산물을 지역 내 공유/마을부엌을 통해 소비하고, 재순환하는 활동 이야기를 통해 생활환경을 지키며, 지역의 공동체문화를 회복하는 방안에 대해 참여자들로 하여금 생각해 볼 지점을 나눌 수 있었다고 사료됩니다.



<'플랫폼 자본주의 시대 일일' 강의>

지난 8월 27일(목) 진행된 두 번째 프로그램은 '플랫폼 자본주의 시대 일일 : 플랫폼 자본의 현실을 진단하고 공동의 미래를 전망하는 시간' 이라는 주제로, <플랫폼 자본주의> 책을 중심으로 킹콩랩 심성보 연구원이 이야기 나눔을 해주셨습니다.


<닉 서르닉 지음 ; 심성보 옮김, 킹콩북, 2020>


두 번째 프로그램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온라인 배송, 비대면 등 플랫폼 이용이 급증하는 사회적 상황입니다.

상기 책을 번역한 심성보 강사는 플랫폼 산업을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플랫폼 기업이 독점력을 활용하는 부분이 있는데, 예를 들어, 배달산업의 라이더 노동자를 통한 불공정 행위를 하는 부분,플랫폼 산업이 활성화되면서 점점 더 외주화 되는 내용 등을 통해 플랫폼 현실을 진단하고, 현재, 앞으로 다수가 누릴 플랫폼 사회는 사유화가 아닌 공동의 미래를 위해 건강하게 고민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고 생각됩니다.



<프로그램 1 강의를 듣고, 식생활키트 재료로 쌀강정을 만든 이용자 후기 캡처본>


참여한 이용자 분들 중 강의를 듣고, 궁금한 부분을 장문으로 열린숲 카톡 채널을 통해 질문해주시고, 강사님을 통해 답변을 드리는 과정을 진행하면서, 비록 온라인 공간이지만, 오프라인 강의 못지않게 이용자 분들이 열심히 참여해주시고, 유익한 시간을 스스로 만들어 가신 것 같아 담당자 입장에서 마음이 훈훈하였습니다.



<프로그램 2 강의를 듣고, 궁금한 점 & 느낀 점에 대한 이용자 후기와

강사 답변 전달 캡처본>


<프로그램 2 강의를 듣고, 이용자의 궁금한 점에 대한 강사 답변 전달 캡처본>


처음으로 여는 비대면 온라인 강좌라 음향, 영상 업로드 과정에서 원활하지 못한 미흡한 부분이 있었지만, 참여해주신 이용자분들이 이해해주셔서 감사한 시간이었습니다.

앞으로 온라인, 비대면을 초월하여 도서관 오프라인 공간에서 도서관 본연의 모습으로, 건강한 일상으로 잘 회복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감사합니다.


※ 참고사항

1. 상기 두 개의 프로그램은 열린숲도서관 카톡 채널에 프로그램 시간에 업로드 하였고, 참여한 이용자 분들과는 온라인 카톡 채팅방을 통해 출석 확인 및 이용후기를 공유해주셨습니다. 공유해주신 분들 중 일부를 추려 강의후기 카톡 내용을 첨부합니다.

또한,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성명/아이디 부분만 가림처리 하였습니다.

2. 열린숲 프로그램은 도서관이 소재한 구로구청의 프로그램비를 지원 받아 진행되었습니다.


2020 년  작은도서관통합홈페이지

'작은도서관 비대면 서비스 우수 사례 공모전 '

출품작품 저작권 및 배포 활용 동의서

작은도서관통합홈페이지의 비대면 서비스 우수 사례 공모전 참여를 위해 아래의 내용을 충분히 인지했으며 , 다음과 같은 사항에 동의합니다 .

□ 출품작품의 저작권 및 배포 활용 동의 : 출품된 작품의 저작권은 본인에게 있으며 , 작은도서관통합홈페이지가 이를 일반에 배포하는 등 (예 . 홈페이지 기재 , 출판인쇄 등 ) 활용하는 데에 동의합니다.

※ 활용 동의 거부 시 응모가 불가합니다 . (v 또는 o 표시)

출품작품 저작권 및 배포 활용에 동의하십니까 ? 동의함 ( )

동의하지 않음 ( )


댓글 0건
작은도서관 회원 및 SNS계정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0자 / 140자
    테이블 제목
    번호 지역/도서관명 제목
    354 서울특별시 강동구 양재대로124길 25 (길동) 다온북카페 작은도서관 [초등 저학년 프로그램] 9월 다독다독 - 9월 여름일기
    353 서울특별시 강동구 양재대로124길 25 (길동) 다온북카페 작은도서관 [9월 어른 추천도서_3]
    352 서울특별시 강동구 양재대로124길 25 (길동) 다온북카페 작은도서관 우리 가족 그릇 만들기 완성!
    351 서울특별시 강동구 양재대로124길 25 (길동) 다온북카페 작은도서관 [9월 어른 추천 도서_2] 딸, 엄마도 자라고 있어
    350 서울특별시 강동구 양재대로124길 25 (길동) 다온북카페 작은도서관 [9월 어른 추천도서_1]살고 싶다는 농담
    349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62길 13 (상도동) 아트&힐링작은도서관 주민과 함께하는 아트&힐링 독서 놀이터(Zoom수업)‘작은도서관 비대면 프로그램 아이디어 공모전’ 양식
    348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로 55 (이문동) 꿈마루 어린이 도서관 [작은도서관 비대면 서비스 운영사례] 꿈마루어린이도서관 '슬기로운 독서생활'
    347 서울특별시 강남구 밤고개로 286 (율현동) 세곡도서관 작은도서관 비대면 서비스 우수 사례 공모전 : 세곡도서관
    346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가좌로 150 (홍은동) 하늘샘어린이도서관 작은도서관 비대면 서비스 우수 사례 공모전 :하늘샘어린이도서관
    345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33길 27, (구로동) 열린숲 작은도서관 작은도서관 비대면 프로그램 아이디어 공모_열린숲도서관 [1]
    344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가좌로 150 (홍은동) 하늘샘어린이도서관 작은도서관 비대면 서비스 (하늘샘어린이도서관) [1]
    343 서울특별시 강동구 양재대로124길 25 (길동) 다온북카페 작은도서관 [초등학생 고학년 프로그램] “초4, 책과 놀기” - 첫 수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