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민주화 운동 기념 강연

2023.05.18


시골에선 가장 바쁜 시기인 모내기철에 참여해 주신분들께 감사의 인사부터 드려야 할 것 같습니다.

오랜 시간 동안 끝까지 함께해주셔서 살짝 감동 받았네요^^

지난 12일 금요일 저녁 강연은 두 시간을 훌쩍 넘겨서까지 이어졌습니다.

두 시간이 길다면 긴 시간일 텐데, 못다한 이야기들이 많은 것 같아 아쉬운감이 없지 않았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두 작가님 5월 일정이 빠듯하시더군요.

복흥까지 오시는 게 쉽지 않았을 텐데 귀한 시간 할애해주셔서 정말 감사했습니다.

우선 박일환 시인께서 문학이 민주주의를 담아내기 시작한 배경과 역사적 흐름까지 체계적으로 전달해주셨습니다.

저는 작가님의 강연을 통해 처음 접하게 되는 용어들이 있어 인상에 많이 남았습니다.

"4.19 혁명 이후 한글세대" 작가들의 활동이라든지

독재 체재 속에 존재했었던 "막걸리 보안법"

1974년 "자유실천문인협회"결성 후 활동

그리고 감옥에서 5.18 소식을 듣고 시를 쓴 김남주 시인의 일화까지

그야말로 민주화 운동과 문학의 역사를 구체적으로 들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던 것 같습니다.

시간이 좀 더 있었다면 <국어사전 독립선언>에 대한 이야기도 들어보고 싶었는데

시간 상 질문을 드리지 못해 많이 아쉽네요.

너무나 치열하고 무모해서 감히 흉내내지 못할 길을 걸어오고 계신 송경동 시인님

강연 당일까지도 남원 '귀정사'에 있는 사회연대 쉼터 <인드라망>에서 오후까지 회의를 하시고 오셨다네요.

귀정사의 공익 활동과 의의에 대해 소개를 받고 보니 꼭 한 번 가봐야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희망버스 기획자로 활동하시면서 김진숙 비정규직 노동자의 복귀를 위해 오랜 기간 시위를 하셨습니다.

한 노동자의 부당해고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그를 복귀시키는 일은

(고용주로 대변되는 사회 권력과 대응하는 일이기에)사회적 상징으로 의미를 가지는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결국 한진중공업 고용주가 바뀌고 명예 복직이 이루어졌다는 데요.

숙원인 복직이 이루어졌음에도 아쉬움이 많이 남는 결말인 건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그 외에도 제가 정말 좋아하는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저자 조세희 작가님과 함께한 집회 현장, 인간적 면모 등 소설같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 정말 좋았습니다.

강연의 묘미는 늘 반복되는 일상과는 또 다른 세상의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지는 것에 있다는 생각이 드는 시간이었습니다.

댓글 0건
작은도서관 회원 및 SNS계정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0자 / 140자
    테이블 제목
    번호 지역/도서관명 제목
    1789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선영8길 7 (성정동) 고맙습니다성정1동 작은도서관 '색종이랑 놀자' 종이접기 [1]
    1788 세종특별자치시 달빛1로 201 (아름동, 범지기마을3단지) 또랑또랑 작은도서관 생활자수 수업 [1]
    1787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선영8길 7 (성정동) 고맙습니다성정1동 작은도서관 '그림책이랑 놀자' 프로그램 운영 [1]
    1786 세종특별자치시 달빛1로 201 (아름동, 범지기마을3단지) 또랑또랑 작은도서관 클레이 수업 [1]
    1785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순환로 118-17 (다산동) 미금작은도서관 3D창의 체험 교실을 했습니다 [1]
    1784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순환로 118-17 (다산동) 미금작은도서관 2018년 11월 14일 다산으로 이사했습니다 [1]
    1783 전라남도 목포시 통일대로75번길 10 (옥암동) 청개구리작은도서관 [목포 청개구리작은도서관] 11월 마지막 날 냅킨아트를 이용한 패브릭가방꾸미기 [1]
    1782 전라남도 목포시 통일대로75번길 10 (옥암동) 청개구리작은도서관 [목포 청개구리작은도서관] 매주 수요일 그림책 읽어 주기 [1]
    1781 전라남도 목포시 통일대로75번길 10 (옥암동) 청개구리작은도서관 [목포 청개구리작은도서관] 오늘, 도서관 책 고쳤어요!-정숙영 선생님과 함께한 를리외르 체험 [1]
    1780 대구광역시 북구 동천로23길 8 (동천동) 그나라어린이도서관 [함께 읽는 12월의 그림책] [1]
    1779 전라남도 목포시 원산중앙로 87 (연산동, 연산주공3단지4단지아파트) 무지개작은도서관 종이로 만드는 크리스마스 - 두번째 이야기 [2]
    1778 울산광역시 북구 염포로 521-1 (양정동) 양정작은도서관달팽이 문화가 있는 날 7회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