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는느티나무 온가족도서관

2013.04.10

사진아~
시가 되어라~

이승희 재미있는 느티나무 온가족도서관 관장

_ story 01 “온가족”을 위한 작은도서관

‘재미있는 느티나무 온가족도서관’은 2009년 고양시 행신동에서 문을 열었습니다. 처음 시작할 때 이름 짓느라 다들 모여 앉아 고민이 많았는데, 이 이름은 아이들과 어른들이 함께 만든 공동작품입니다. 아이들은 ‘느티나무였으면 좋겠고, 그 느티나무가 “재미있는” 곳이었으면 좋겠다’ 하였고, 어른들은 ‘그 동안 지내왔던 것처럼 가족이 모여 함께 즐기는 문화를 담아내보자’ 하는 생각에 “온가족도서관”이라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탄생한 것이 ‘재미있는 느티나무 온가족도서관’입니다. 이름 속에 다 들어 있지만, 이 곳은 어린이만을 위한 곳도, 청소년만을 위한 곳도 아닙니다. 동네 사람 모두, 온 가족이 손을 잡고 나들이처럼 놀러 올 수 있는 곳, 거기다 ‘책’까지 있는 ‘동네 놀이터’입니다. 긴 이름이어서 사람들은 줄여 말하기도 하지만 이왕이면 이름 그대로 불렸으면 좋겠고, 그 이름처럼 역할을 충실히 했으면 하는 게 도서관 식구들의 바램입니다. 작은도서관이지만 결코 작지 않다고 말할 수 있는 이유는 거기에 있을 겁니다. 요즘 한창 말하고 있는 ‘지역 마을공동체 만들기’를 도서관 시작하던 해인 2009년부터 하고 있었던 셈입니다.^^

_ story 02 이웃들이 만든 ‘조합형 동네도서관

‘재미있는 느티나무 온가족도서관’은 한 개인이 운영하는 곳이 아닙니다. 처음 시작하던 당시 즉, 2009년부터 조합을 만들어 운영을 했습니다. 이름은 ‘도서관생활협동조합’이라고 정관에 명시하였습니다. 시작할 당시는 10가구 20명으로 출발하였고 현재는 14가구 28명이 조합원으로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습니다.

개인이 조합원으로 가입하여도 되지만 우리 동네는 가족 단위로 모여 노는 문화가 자리 잡아서 가족이 조합원 가구가 되는 걸로 이해하고 도서관을 운영합니다. 아마도 대한민국 최초(?)의 조합형 도서관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것도 동네 사람들이 모여 만든 ‘도서관조합’ 말입니다.

저희 도서관조합은 조금 특이한 정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조합이라 함은 출자금을 내고 조합원이 되었다가 탈퇴하면 출자금을 돌려주어야 하는 것이 마땅한데, 재미있는 느티나무 온가족도서관 조합은 탈퇴 시 출자금 반환이 없습니다. 탈퇴하더라도 출자금은 기부하기로 약속하고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조합 운영이 어려워 도서관이 문을 닫게 되더라도 도서관의 모든 자산은 도서관 조합원이 배분하여 나눠 갖는 것이 아니라 모두 사회에 기부하기로도 약속했습니다. 이 모든 것은 정관에 정해져 있어 누구도 거스를 수 없습니다

_ story 03 ‘의무만 있고 권리는 없는’ 조합원

일반적인 협동조합의 조합원은 출자금을 내고 조합원이 되는 동시에 의무와 권리를 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이익이 생겼을 경우, 그 이익을 조합원에게 골고루 배분합니다. 그러나 ‘재미있는 느티나무 온가족도서관 협동조합’은 이런 상식을 완전히 배제하고 운영합니다

다른 조합과 달리 ‘재미있는 느티나무 온가족도서관 조합’은 조합원이 갖는 권리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겁니다. 권리라고 해야 일손이 부족할 때, 혹은 다양한 도서관 행사 때 ‘일 할 권리(?)’를 갖는 정도입니다. 이에 비해 의무는 아주 많습니다. 출자금을 내야 하는 건 물론이고, 운영적자를 메꾸기 위해 한 달에 한 번씩 ‘조합운영비’를 납부해야 합니다. 이 조합운영비의 금액은 총회에서 결정합니다. 총회는 1년에 2번 -상반기/하반기- 열리는데, 총회에서는 조합운영비의 결정과 더불어 다양한 운영에 관해 논의합니다. 이외에도 조합원이 의무적으로 해야 할 일은 또 있습니다.

토요일에도 도서관을 운영하는데, 이때는 도서관 관장이 휴무여서 도서관 조합원들이 자원봉사 형태로 순번을 정해 문을 열고 의무제로 운영해야 합니다. (물론 토요일에 동네 청소년들로 꾸려진 청소년 운영위원들이 나와 문을 열기도 합니다) 이 뿐만이 아닙니다. 조합에 만일 이익이 생긴다면 그 이익은 조합원 자신이 아니라 어려운 동네 이웃과 신간자료를 구입하는 데 쓰기로 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로 조합원에게 돌아가는 권리라는 건 아무것도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_ story 04 도서관 주인은 주민! 조합원 몫은 뒷바라지!

간혹 조합으로 운영된다고 하니 도서관 이용을 조합원 가족들만 주로 이용하는 것 아닐까 생각하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조합원이 아닌 경우, 회원가입비나 월 이용료를 내야하는지 물으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그러나 이런 예측은 완전히 빗나간 것입니다. 조합원의 가족들은 오히려 이곳을 자주 이용하지 않습니다.

‘재미있는 느티나무 온가족도서관’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이용자는 조합원이 아닌 동네 주민들입니다. 도서관은 이용하시는 동네 주민들에게는 회원가입비도 없고, 월 이용료도 없습니다. 아무런 문턱이 없는, 그야말로 공공도서관인 셈입니다.

_ story 05 그렇다면 조합원들은 무엇 때문에 조합을 만들어 고생을 하는 걸까요?

‘도서관조합원’은 자기가 이용하기 위해 조합에 가입한 것이 아닙니다. 고양시의 경우 도서관 인프라가 어느 정도 갖춰져 있어서 도서관이 부족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재미있는 느티나무 온가족도서관이 있는 행신동의 경우, 공공도서관이 다양하게 있어서 주민들이 이용하기에 불편함은 없습니다. 이런 환경인데도 조합을 만들어 도서관을 운영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동네 사람들과 재미있게 살고 싶어서입니다. 놀이터이며 쉼터이며 배움터로서 동네 도서관의 역할을 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동네 도서관이 자기 역할을 다한다면 어른들은 성숙한 공동체의 일원이 되기 위해 공부할 것이고 아이들은 건강하게 자라기 위해 힘차게 뛰어 놀 것입니다.

그 안에서 ‘책’은 길을 찾아주고, ‘경험’은 공유하게 될 것이며, ‘소통과 교류’는 저절로 이루어지리라 봅니다. 도서관의 조합원들이 꿈꾸는 것은 그런 소망입니다. 이 소망을 한 줄 글로 담아낸 것이 도서관의 슬로건인 ‘책과 함께 커다랗게... 이웃과 함께 재미있게...’입니다.

_ story 06 동네의 손길, 눈길로 자라는 ‘재미있는 느티나무 온가족도서관’

2009년 처음 개관할 당시, 도서관의 크기는 아주 작았습니다. 작은도서관의 기준이 되는 10평에서 1평 부족한 9평 규모여서 도서관 설립증을 발급 받을 수 없었습니다. 그렇게 좁은 공간에서 1년을 보낸 후, 동네에 ‘도서관 1평 만들기 후원행사(일일호프 및 나눔장터)’를 열어 공간을 마련했습니다.

동네사람들의 십시일반 후원금이 모여 2010년 8평의 추가공간이 마련되었고, 이 두 공간을 합쳐 ‘작은도서관’으로서 도서관 설립증을 받게 되었습니다.

도시형 작은도서관이라 상가 건물 안에 있는데, 두 공간이 벽 하나를 두고 나란히 붙어 있습니다. 한 쪽은 엎드리거나 혹은 뒹굴며 책을 볼 수 있게 되어 있고, 다른 한 쪽은 의자와 책상이 있어 청소년과 어른들이 주로 사용하는 공간입니다. 공간 마련이 끝나자 공간을 지속할 방법을 찾는 게 더 어려운 일이지만 이 부분은 조합원들과 함께 숙제로 껴안고 다양한 운영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댓글 0건
작은도서관 회원 및 SNS계정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0자 / 140자
    테이블 제목
    번호 제목 등록일
    108 [운영아이템] 리슈빌 나눔장터 by 산남 계룡 리슈빌 작은도서관 2016.03.04
    107 [운영아이템] 소통의 인문학 by 징검다리어린이작은도서관 2016.03.03
    106 [운영아이템] 북캠프 by 징검다리어린이작은도서관 2016.03.03
    105 [운영아이템] 책 읽기 빙고게임 by 하늘벗도서관 2016.03.03
    104 [운영아이템] "후원의 밤" by 팔판작은도서관 2016.02.29
    103 [대구] 어린이도서관 '책마실 2016.02.29
    102 [운영아이템] 책(book)하는 대로 by 보름산미술관 작은도서관 2016.02.24
    101 [대구] 마을도서관 햇빛따라 2016.02.24
    100 [운영아이템] 요일day 프로그램 by 꿈꾸는나무작은도서관 2016.02.22
    99 [경남] 창녕군 우포자연도서관 2016.01.11
    98 [서울] 서초구 서초포레스타 3단지도서관 (아파트작은도서관 운영 사례) 2016.01.11
    97 [경기] 파주시 한톨작은도서관 (아파트작은도서관 운영 사례) 2016.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