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작은도서관서 '보물 만들기'… 창생공간 워크숍

매체명 : 경인일보 보도일 : 2018.11.22
링크주소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181121010006938
작은도서관서 '보물 만들기'… 창생공간 워크숍

경기문화재단은 오는 24일 6번째 문화공방 '창생공간(MAKER SPACE) 별짓'을 열고, 그림책을 주제로 한 제작워크숍을 6회에 걸쳐 진행한다.

14년 동안 작은도서관 '책놀이터'로 운영됐던 창생공간 별짓은 인근에 큰 공립도서관이 생겨 도서관 기능을 이관하고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변화하고자 마련된 공간이다.

별짓의 오픈행사에는 책놀이터 어린이 노래단 '시끌이들'과 아토인형극단의 '구름이와 욜'의 축하공연, 걱정 인형 만들기, 포트 록 파티 등이 이어진다. 생활기술과 사회적 기술을 확산하고자 마련된 제작워크숍은 그림책을 소재로 페이퍼 커팅과 인형 만들기를 선보인다

한성민 작가와 함께 환경과 공존에 대한 생각을 나누며 나만의 그림책을 만들어 보는 페이퍼 컷팅, 신종수 공방장과 함께 버려지는 나무 조각들로 만드는 걱정인형, 박지숙 작가와 함께 사라지는 멸종 동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동물 인형을 만든다.

앞으로 별짓은 고양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화기획협동조합 별책부록이 기획하고 운영하면서 그림책을 소재로 한 핸드메이드 상품을 기획하고 만들어 파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또 고양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업자와 예술가, 지역 주민들의 네트워크 공간으로도 사용되는데, 메이커 책과 공구를 대여하기도 하고 그림책과 관련된 다양한 만들기 활동을 통해 제작문화를 확산하고 지역 주민과 공유할 수 있는 '그램책 공방'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한편 창생공간은 제작 도구를 갖춘 작업장이자 시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쇼룸, 카페, 라이브러리 등 복합기능을 갖춘 커뮤니티 공방이다.

창생공간의 주요 키워드인 '기술'은 자작, 수리, 발효, 적정기술 등 일상과 밀접한 생활 기술이며, 이러한 기술과 공간을 공유하므로 사회적 활동과 공공을 확산하고자 시작됐다.

현재 2016년에 오픈한 수원 빼꼼(발효), 성남 재미(수리), 안양 이모저모 도모소(시니어 굿즈), 남양주 수동(적정기술 난로)과 2017년에 오픈한 오산 문화전파사(미디어) 등이 운영되고 있다.

또한 다음달 12일부터 창생공간 3년간의 활동을 공유하고 공간지원의 정책적 의미를 되짚어 보는 창생공간 쇼케이스를 갖는다. 자세한 내용은 경기문화재단 홈페이지(www.ggcf.kr)에서 확인 할 수 있다.

/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
댓글 0건
작은도서관 회원 및 SNS계정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0자 / 140자
    작은도서관 뉴스 목록
    번호 제목 매체 보도일
    31 노원구 '책 읽는 어머니 학교' 운영 매체 :메트로신문 보도일 :2013.04.03
    30 인천시민 봄맞이 힐링은 ‘책 향기’ 매체 :경기신문 보도일 :2013.04.03
    29 전라북도, 무자격 작은도서관 운영자 인건비 지원 끊는다 매체 :전라일보 보도일 :2013.04.02
    28 [단신] 충주시 봉숭아꽃 작은도서관 ‘개관’ 매체 :충청투데이 보도일 :2013.04.01
    27 꿈쟁이 작은도서관,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매체 :헤드라인제주 보도일 :2013.03.30
    26 부천시, '도서' 상호대차서비스 거점도서관 확대 매체 :민중의소리 보도일 :2013.03.28
    25 올해 공공도서관과 작은 도서관 100개 생긴다 매체 :독서신문 보도일 :2013.03.28
    24 책읽는 사회 만들고 문화유산 세계화 추진 매체 :공감코리아 보도일 :2013.03.28
    23 전자책 독서실태조사 결과 발표 - 전자책 독서인구 15%,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로 문학 읽기 중심 매체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보도일 :2013.03.27
    22 대전 한밭도서관, 주제가 있는 도서전 개최 매체 :뉴스1 보도일 :2013.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