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파트 숲에도 ‘골목’이 있다…공원 안의 작은 도서관 ‘책엄책아’

매체명 : 동아일보 보도일 : 2018.11.27
링크주소
http://news.donga.com/3/all/20181127/93053212/1
아파트 숲에도 ‘골목’이 있다…공원 안의 작은 도서관 ‘책엄책아’

아파트촌 한가운데 자리한 서울 성동구 금호동3가 응봉근린공원에서 지난달 20일 작은 축제가 열렸다. 천연 염색, 재생종이 엽서 만들기, 민화 책갈피 만들기, 책 낭독, ‘그냥 멍 때리기’ 등 아기자기한 프로그램에 인근 주민 300명이 몰렸다. 소문을 듣고 경기 남양주시에서 찾아온 이도 있었다. ‘나랑 같이 놀자’(19회)라는 제목의 이 축제를 주최한 곳은 지방자치단체가 아니라 공원 안의 작은 사립 도서관 ‘책읽는엄마 책읽는아이’(책엄책아)다.

재개발로 옛 모습이 사라지고 아파트가 빽빽이 들어서면서 ‘골목 문화’가 사라진 이 동네에서 ‘책엄책아’는 사람들이 만나는 ‘골목’이 되고 있다.

“경기도에 살다가 2014년에 여기 아파트로 이사 왔을 때는 좀 삭막하다고 느꼈어요. 이웃과 교류할 공간도 마땅치 않고, 서로 만날 의지도 없는 것 같고…. 그런데 책엄책아에서 이웃이 생기고, 삶에 활력도 생겼죠.”

아이 둘을 키우는 최희정 씨(36)의 말이다. 최 씨는 일주일에 두세 번은 들러 바느질과 인문학 공부를 함께 하는 도서관 동아리 ‘꽃마리’ 등에서 활동한다. 책엄책아의 핵심은 동아리다. 낭독모임, 민화 그리기, 그림책 공부모임 등 8개 동아리에서는 각각 4~14명의 회원이 활동한다. 특히 성인 동아리가 활발하다.

부모들은 책엄책아에서 아이를 함께 키운다. 인근 신축 아파트에서 두 아이를 키우는 김경희 씨(42)도 이 작은 도서관의 단골이다.

“어느 아이가 ‘책 읽어 주세요’ 하면 누구 아이인지 따질 것 없이 읽어주는 게 자연스러워요. 아이가 여러 부모들을 대하면 정서적으로 더 안정되고, 부모들은 육아하며 어려운 점을 서로 상의하니 가족 같은 분위기죠.”(김 씨)

‘책 읽어주기 품앗이’를 했던 엄마들이 재능을 발전시켜 ‘책 놀이 활동가’가 되는 드물지 않다. 아이를 키우며 2004년부터 책엄책아를 이용하던 김은하 씨(44)는 7~8년 전부터는 책을 매개로 바느질을 가르치는 강사로 활동한다. 김 씨는 “책엄책아에 다니며 아이만 큰 게 아니라 나도 강의를 들으며 공부하고 성장했다”고 말했다.

어른 그림책 학교를 비롯해 도서관의 다양한 프로그램마다 30~40명이 참여한다. 이는 여러 소모임으로 이어진다. ‘문화기획자에 도전한다’ 강좌 수강생들이 만든 소모임이 ‘몰랑’이라는 무크지를 발간하기도 했다.

동명의 시민단체가 운영하는 책엄책아는 2001년부터 성동구 행당동에서 작은 도서관을 운영한 작은 도서관계의 ‘큰형님’ 가운데 하나다. 행당동 시절 왕십리 광장에서 연 ‘나랑 같이 놀자’ 축제에도 주민 1000명이 모여드는 등 마을 공동체의 중심이었다. 2014년 지금의 금호동3가로 이전했다. 현재 도서관은 성동구가 무상 제공한 시설을 KB국민은행과 사단법인 ‘작은도서관만드는사람들’의 도움으로 리모델링했다.

도서관을 이용하다 사서로 일했던 우미선 책엄책아 대표(52)는 행당동 시절 도서관 이용자들이 소아병동이나 장애인복지시설에서 책읽기 봉사를 했던 모임을 다시 준비하고 있다. 우 대표는 “아파트는 익명성이 강한 환경이지만 사람이 사람을 만나 교류하고 싶은 건 어디나 마찬가지”라며 “작은 도서관은 책을 매개로 건강한 문화를 이웃과 나누는 곳”이라고 말했다.

/ 조종엽 기자 jjj@donga.com
댓글 0건
작은도서관 회원 및 SNS계정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0자 / 140자
    작은도서관 뉴스 목록
    번호 제목 매체 보도일
    15 [단신] 정읍시 수성동 ‘작은도서관’ 개관 매체 :전북중앙신문 보도일 :2013.03.18
    14 작은도서관 활성화 사업 본격화 - 청주시립도서관, 통계자료 구축·도서구입 등 추진 매체 :충청일보 보도일 :2013.03.18
    13 제7회 도서관 현장발전 우수사례 공모 매체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보도일 :2013.03.18
    12 [단신] 익산시, 동산동에 '꿈드림 작은도서관' 개관 매체 :뉴스1 보도일 :2013.03.15
    11 강서구, 동네마다 色色, 작은도서관 인기 만점 매체 :전국매일신문 보도일 :2013.03.14
    10 경기도, 책 나눔 운동으로 기사휴게실 간이도서관으로 탈바꿈 매체 :뉴스1 보도일 :2013.03.13
    9 송산1동주민센터 작은도서관 '찾아가는 도서배달 서비스' 시행 매체 :경원일보 보도일 :2013.03.12
    8 광주시, 작은도서관 활성화 지원사업 167개 단체 선정 매체 :뉴스1 보도일 :2013.03.12
    7 동구 지저동 주민 위한 ‘작은 도서관’4월 개관 매체 :대구신문 보도일 :2013.03.07
    6 전주시 2013년도 작은도서관 공모사업 2곳 선정 매체 :뉴스21 보도일 :2013.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