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민이 찾는 문학공간 활성화해야"

매체명 : 금강일보 보도일 : 2019.02.20
링크주소
http://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601860
대전 지역문학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시민과 작가, 서점 주무기관 모두가 협력, 연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전작가회의와 대전문인협회가 처음으로 19일 계룡문고에서 개최한 공동 심포지움에서 김정숙 문학평론가(대전작가회의 편집주간)는 ‘대전문학의 진단과 숙의를 위한 몇 가지 질문과 제언’ 발표를 통해 “시민, 작가, 서점, 주무기관이 연계되면 작가와 단체가 작품을 통해 자기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이어가며 집단 문학성을 정립해 갈 수 있다”며 이 같이 주장했다.

이어 김 평론가는 “전문 창작가와 아마추어 창작자와의 소통 및 지원과 관련돼 두 주체는 네트워크 점검 등을 통해 대전문학 지형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시, 소설, 수필 등 맞춤형 지원방안도 필요한데, 시민과 작가, 주무기관이 연계 돼야 젊은 후속 세대의 창작자에 대한 관심과 육성 방안이 마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관과의 연계와 함께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문인’이라는 의견도 뒷받침됐다. 박헌오 시조시인은 ‘대전문학의 발전을 위한 몇 가지 제언’ 주제발표를 통해 “문인, 관, 시민 가운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문인”이라며 “자주성을 굽히지 않고 실천하는 문인 한 사람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일성했다.

아울러 그는 “도서관, 마을 작은도서관 등 문학을 활성화시켜 시민이 찾아오도록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여러 종류의 평생교육기관과 같이 시민이 문학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많지만 역량 있는 작가들이 대부분 방관하고 봉사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어 “행정적인 기획으로 문학을 활성화하기에는 전문성에 무리가 따르지만 천신만고 끝에 자리 잡은 대전문학관을 문인들이 앞장서서 키우고 늘리고 활성화 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문학관은 그동안 모든 단체와 함께 하기 위해 기획전을 열고, 초대전을 개최하는 등의 다양한 문학 이벤트를 만들어왔지만 더 중요한 점은 소중한 문학 자료를 수집해 보존하는 것”이라며 “적은 인원은 늘리고, 비좁은 공간은 확장하며, 프로그램을 계속해서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역설했다. 또 “문학적 기념공간이나 유적을 통해 시민들이 소중히 여기도록 하고, 지방 정부도 깨우치게 해야 한다”고도 했다.

문인들의 이 같은 주장에 대전시는 문학 활성화를 위한 답변을 내놨다. 문용훈 문화예술정책과장은 “문학을 통한 가치 있고 풍요로운 삶의 실현을 위한 비전으로 지역 문학의 연구와 보존을 체계화할 것”이라며 “대전의 문학 자료를 수집하고, 자료에 대한 보존 관리와 조사연구를 통해 기록물 유실 방지에 힘쓰겠다‘고 약속했다.

특히 문인들이 지속적으로 요구해온 문학창작지원 방향도 제시했다. 문 과장은 “문학창작 지원에 그치지 않고 레지던시 창작공간확보와 국제문화예술교류지원도 추진하겠다”며 “대전문학관을 지역 문학 진흥 거점으로 육성하고 문학 전문 인력 양성 등 지역 문화자원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강선영,김지현 기자
댓글 0건
작은도서관 회원 및 SNS계정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0자 / 140자
    작은도서관 뉴스 목록
    번호 제목 매체 보도일
    3615 [경남]창원시, 올해 평생교육사업 36억여 원 투입 매체 :경남일보 보도일 :2019.03.05
    3614 [경기]연립주택 현관에 들어선 도서관, 굉장하다 매체 :오마이뉴스 보도일 :2019.03.05
    3613 [경기]인문학 도시 수원, '책 읽기 좋은 환경' 조성 매체 :이뉴스투데이 보도일 :2019.03.05
    3612 [전북]전주시립도서관 4일 15개 사립작은도서관 관계자와 순회사서 지원 간담회 가져 매체 :브릿지경제 보도일 :2019.03.04
    3611 [경기]용인시, 작은도서관 5곳에 순회 사서 파견 매체 :KNS뉴스통신 보도일 :2019.03.04
    3610 [경북]포항, 대한민국 책의 도시 명성 잇다 매체 :경북매일 보도일 :2019.03.03
    3609 [충북]옥천군 지역밀착형 생활SOC사업 50개 발굴 매체 :대전일보 보도일 :2019.03.03
    3608 [전북]책의 도시 전주, 국가대표 도서관 '우뚝' 매체 :뉴스메이커 보도일 :2019.03.03
    3607 [경기]“북카페 작은도서관, ‘나홀로 교회’ 아닌 지역과 소통·상생 위해” 매체 :크리스천투데이 보도일 :2019.03.02
    3606 [서울]금천구, 공공도서관․작은도서관에 '책이음' 서비스 개시 매체 :시사매거진 보도일 :2019.02.28